ADVERTISEMENT

文 "전례없는 비상 경제시국"···한은 총재까지 靑회의 불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경제·금융 상황 특별 점검회의'를 하고 있다. 왼쪽은 노영민 비서실장. 이날 회의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이주열 한은 총재, 성윤모 산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경제·금융 상황 특별 점검회의'를 하고 있다. 왼쪽은 노영민 비서실장. 이날 회의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이주열 한은 총재, 성윤모 산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장중 한때 7%대 폭락을 한 13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경제·금융상황특별점검회의를 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국내 실물과 금융시장도 충격을 입자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열린 긴급 회의다.

문 대통령은 금융시장과 제반 경제 동향을 보고받은 뒤 “경제 정책을 하는 분들은 과거의 비상상황에 준해서 대책을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지금은 메르스, 사스와는 비교가 안 되는 비상 경제시국”이라고 말했다. 미국 다우 지수는 12일(현지시간) 9.99% 하락해 1987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하는 등 시장이 받아들이는 충격은 20여년 만에 최대인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과거 사례와 비교는 할 수 있으나 그때와는 양상이 다르고 특별하니 전례 없는 일을 해야 할 상황”이라며 “정부는 과거에 하지 않았던 대책을, 전례 없는 대책을 최선을 다해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함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참석했다. 경제 수장이 모두 참석한 것이다. 청와대에선 김상조 정책실장과 이호승 경제수석이 참석했다. 현 정부에서 한은 총재가 대통령 주재 경제 관련 회의에 들어온 것은 처음이다. 그만큼 청와대가 현 상황을 엄중하게 본다는 의미이다. 또 재정·금융 정책과 함께 통화정책도 필요하다는 문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도 풀이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3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경제·금융 상황 특별 점검회의' 중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이주열 한은 총재, 성윤모 산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3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경제·금융 상황 특별 점검회의' 중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이주열 한은 총재, 성윤모 산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다만 청와대의 한은 총재 호출은 통화정책의 중립성과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있다. 한국은행은 독립기관이고 총재는 국무위원이 아니다. 박근혜 정부에서 이른바 ‘서별관 회의’라고 불린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가 청와대에서 열렸을 때 김중수 전 한은 총재가 회의에 불참하기도 했는데,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현 정부에선 2018년 12월 청와대와 정부 경제팀 간 회의인 경제현안조율회의가 처음 열렸을 때에도 이주열 총재는 참석 명단에서 빠졌다. 당시 청와대는 “서별관회의가 문제가 됐던 것은 한국은행 총재가 참석했기 때문”이라며 현 정부는 한은의 독립성을 보장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은 총재를 청와대로 부른 것은 적절해 보이지는 않는다. 백악관 회의에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안 가지 않느냐”고 말했다. 다만 “중앙은행 독립성 이슈가 고려되지 않을 정도로 현재 상황이 심각하고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시장에 주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회의를 마치며 홍 부총리에게 “지금까지도 잘 해왔으니 앞으로도 잘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를 두고 문 대통령이 홍 부총리에게 힘을 실어주고 신임을 다시 보여준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전날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기획재정부가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안의 규모(11조7000억원)가 코로나19 대응에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홍 부총리가 이렇게 소극적으로 나오면 나라도 물러나라고 할 수 있다”며 거취 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