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정은보 “미군의 한국인 무급휴직 통보 안타깝고 송구스러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가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브리핑실에서 방위비 협상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가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브리핑실에서 방위비 협상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는 28일 주한미군의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지급 문제와 관련해 미국에 우선 해결을 제안했으며 미국이 이 제안을 수용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 대사는 이날 오후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정부가 한미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 타결을 위해서 노력 중인 가운데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협상대표로서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와 가족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SMA 협상타결이 지연될 경우를 대비해 정부는 한국인 근로자들의 인건비 지급 문제를 우선으로 해결하기 위한 교환각서 체결을 미국 측에 이미 제안했다”며 “지난해 수준에 준해 확보해 놓은 우리 방위비분담금 예산 중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의 인건비를 우선 지원토록 하고 SMA가 최종 합의되면 이에 포함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간 총액 등 핵심 쟁점에 대한 입장차는 있겠지만 인건비 관련해서는 이견이 없는 만큼 미국 측도 이를 수용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무급 휴직이 없는 SMA 타결을 위해 필요할 경우 국회비준동의절차를 두 번 추진할 준비도 되어 있다”고 말했다.

한미는 올해 1월부터 적용돼야 할 10차 SMA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지난해 9월부터 진행하고 있지만, 총액 등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가운데 주한미군은 이날 “방위비 분담금 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협정의 공백 사태가 지속하고 있다”며 “한국인 근로자들에게 4월 1일부터 시행될 수 있는 무급휴직에 대해 30일 전 사전 통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