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도성을 세 번이나 버린 임금, 그는 왜 왕이 되려 했을까?"

중앙일보

입력

그는 쿠데타 세력에 업혀 왕이 됐다. 배다른 삼촌 광해군을 밀어내고 임금에 올랐다. 인조 얘기다. 성공한 쿠데타였다. '광해군의 폭정을 바로잡겠노라'. 인조는 기세가 등등했다. 적폐 청산의 칼을 휘둘렀다. 광해군 쪽에 섰던 인물들을 가차 없이 처단했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인조는 왜 자신이 임금이 됐는지에 대한 답을 보여주지 못했다. 내치도, 외치도 엉망이었다. 리더십의 실종…. 결국 나라를 망국의 벼랑 끝으로 몰아넣었다.

세 번이나 도성을 비우고 도망친 임금이다.

반정 이듬해(1624년) 실로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함께 쿠데타를 일으켰던 공신 이괄이 반란을 일으켰던 것이다. “내 떡은 왜 이리 작아?” '전리품 나눠 먹기'에 불만을 가진 이괄이 창을 거꾸로 잡았다. 평안도에서 응집한 반란 세력은 결국 서울 도성까지 장악했다. 인조는 도성을 버리고 멀리 충청도 공주 공산성으로 피해야 했다.

쿠데타 세력 간 자중지란이었다. 지금의 서대문 안산에서 결전이 벌어졌다. 한양 백성들은 멀찍이 서서 팔짱 끼고 싸움을 지켜보기만 했다. “이기는 쪽이 우리 편.” 인조, 이괄 어느 누구도 백성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 것이다. 관군은 가까스로 반란을 진압했지만 반정 세력의 도덕성은 큰 타격을 받았다.

그래서 묻는다.
‘그는 왜 왕이 되려 했을까?'

인조는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으로 세 번 도성을 버리고 피신해야 했다. 영화 '남한산성'의 인조

인조는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으로 세 번 도성을 버리고 피신해야 했다. 영화 '남한산성'의 인조

청나라 침입으로 또다시 두 번이나 도성을 버려야 했다. 한 번은 강화도로(정묘호란), 또 한 번은 남한산성으로(병자호란) 피했다.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사이에는 10여년의 간격이 있다. 한 번 당했으면 반성하고, 대비했을 법도 한데 그러지도 못했다. '싸워야 한다', '화친해야 한다'는 신하들 말싸움에 이리저리 휘둘릴 뿐 시간만 보냈다. 왕은 결단하지 못했다.

우리는 그 결과를 안다. 삼전도의 차디찬 언 땅에 아홉 번 머리 찧기였다.

전쟁 후 조선이 직면한 현실은 비극 그 자체였다. '최명길 평전'(보리 출판, 한명기 지음)에 나오는 한 장면은 이랬다.

"정명수라는 자가 있다. 청나라 편에 선 조선인 통역관이다. 정명수는 서울 한복판에서 의주 부윤 황일호를 비롯한 11명을 참살했다. 명나라 선박과 밀통했다는 혐의였다. 정명수는 영의정을 비롯한 조선 신료를 모아 놓고, 그들이 보는 앞에서 능지처사 형을 집행했다. 신료들은 공포 분위기에 질려 시신 수습할 엄두도 낼 수 없었다….

능지처참이 어떤 형이던가. 청나라는 그렇게 노비 출신 말단 통역관을 앞세워 '인조 길들이기'에 나섰다.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일이다. 인조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그는 자신을 '화살 맞은 새'라고 표현했다. 한 번 화살을 맞은 새는 활 비슷한 물체만 봐도 벌벌 떤다. 그 꼴이다.

다시 묻는다.
‘그는 왜 왕이 되려 했을까?'

'재조지은(再造之恩)'. 인조는 그렇게 답한다. '임진왜란 때 조선을 다시 만들어 준 명나라의 은혜'를 망각하고 청과 '내통'한 광해군을 몰아냈다고 말이다. '자식은 부모를 섬기고, 신하는 임금을 섬기고, 소국은 대국에 사대해야 하거늘...' 인조는 사대, 반청(反淸)의 기치를 들었다.

현실은? 전혀 딴판이었다. 병자호란이 터지기 직전 조선 전체 군사는 약 12만 명에 불과했다. 그중 9만 명 정도가 '속오군'이었다. 농사짓다 훈련에 동원되는 병사…. 무기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훈련시킬 군관도 모자랐다. 싸우는 방법도 모르는 그들을 전장으로 내몰았다.

군량미도 부족했다. '청천강 서쪽 진지에 있는 수 백명의 병사에게 3개월 치 군량도 못 주고 있다'는 상소가 올라올 정도였다. 인조가 몰랐을 리 없다. 그럼에도 그는 전쟁으로 가는 길을 막지 않았다. 그 결과가 언 땅에 이마 찧기였다.

바꿀 수도 있었다.

병자호란이 터지기 6개월여 전, 명은 황손무라는 이름의 특사를 보낸다. 조선에 청을 치도록 독려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황손무는 조선의 상황을 보고는 입장을 180도 바꾼다. 도대체 싸울 준비가 안 됐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황손무는 “청과의 화친을 끊지 말라”고 권고했다. “전쟁을 벌이면 반드시 망할 수밖에 없다”는 경고도 했다.

그의 말을 이해하는 사람은 최명길뿐이었다. 대부분의 신하는 마이동풍이었다. 황손무의 충고를 따르는 것은 '백성을 속이고 황조를 배반하는 행위'라고 규정했다.

인조는 다시 머뭇머뭇했다. 정묘호란 때 그렇게 당하고도 아무런 대책 없이 세월을 허송했다. 전쟁은 기어이 터지고 말았다.

또 묻게 되는 질문.
‘그는 왜 왕이 되려 했을까?'

'살제폐모(殺弟廢母)'. 인조는 답한다. “형제(영창대군)를 죽이고, 어머니(인목대비)를 폐위한 광해군의 불의(不義)를 응징했노라”라고 말이다.

인조는 과연 ‘살제폐모’를 논할 자격이 있는가? 아니다.

항복 후, 인조는 심양으로 끌려가는 소현을 보고 통곡한다. 적장에게 허리를 굽혀 “세자를 제발 구들이 있는 방에서 자도록 해달라”고 신신당부한다. 그때소현의 나이 25세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조에게 소현은 제거해야 할 ‘정적(政敵)’으로 변해간다.

소현은 심양에 있으면서 조선과의 메신저 역할을 했다. 조선의 입장을 조율하느라 애썼다. 심양으로 끌려온 조선인들을 보살피는 ‘총영사’였다. 그 과정에서 청나라 관리들과 교류가 잦았고, 친분을 쌓아갔다. 청의 베이징 입성 때 동행, 새로운 문물을 접하기도 했다.

“혹시 청 황제가 나를 심양으로 불러들이고, 소현을 대신 왕으로 세우려는 건 아닌가?” 인조는 멀리 한양에서 전전긍긍했다. "청나라에 착 달라붙은 소현의 행적도 수상하다 압박감은 더 무겁게 그를 억눌렀다. 부자간 정치적 역학 관계에도 변화가 왔다.

자식이 아닌 정치 라이벌….

소현은 귀국 후 2개월여 만에 죽는다. 독살설이 제기된다. 인조실록은 “온몸이 전부 검은 빛이었고, 이목구비의 일곱 구멍에서는 선혈이 흘러나오므로…”(1645. 6. 27)라고 적고 있다. 독살설은 말 그대로 '썰'일 수 있다. 그러나 인조가 소현을 적대시했다는 건 여러 기록으로 증명된다. 인조는 자식을 정적으로 몰아붙일 만큼 자신감이 없었고, 또 치사했다.

소현의 아내이자 인조의 며느리였던 강씨는 정치 탄압을 받는다. 강씨의 친정 형제들은 귀양을 가야 했다. 인조는 결국 ‘왕 수라에 독을 넣었다’라는 이유로 강씨에 사약을 내린다. ‘조작’ 혐의가 짙다고 실록은 적고 있다. 소현의 아들 셋은 모두 귀양을 가야 했다.

아들을 독살하고(?), 그 아내에 사약을 내리고, 며느리 형제들을 귀양보내고, 손자들을 내치고…. 이게 바로 ‘살제폐모’를 명분으로 쿠데타를 일으킨 인조가 한 일이다. 그가 부르짖던 윤리, 정의는 스스로 부정됐다. 자기모순이다. 요즘 말로 ‘내로남불’이 따로 없다.

그래서 또 묻는다.
‘그는 왜 왕이 되려 했을까?'

한명기 명지대 교수는 ‘최명길 평전’에서 이렇게 적는다.

“항복 이후 인조는 ‘추대된 군주’라는 굴레를 벗어던지고 ‘절대군주’로 변신하려 시도했다. 그 과정에서 숨 가쁘게 폭주하면서 이성을 잃는다…”

* 이 글은 ‘최명길 평전’, ‘병자호란1,2’를 읽고 쓴 독후감입니다.

차이나랩 한우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