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라이어에 감자 오래 튀기지 마세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기름으로 튀기지 않아 건강에 좋다는 이유로 즐겨 쓰는 에어프라이어. 하지만 탄수화물이 많은 식품을 조리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탄수화물 식품을 고온(120℃ 이상)으로 오랜 시간 가열할 때 생성되는 유해 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다량 검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은 양 조리할 때 유해물질 생겨 #온도 높고 시간 길수록 많이 발생

에어프라이어로 감자튀김을 조리할 때 양이 너무 적거나 조리시간이 길면 유해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많이 나왔다. [중앙포토]

에어프라이어로 감자튀김을 조리할 때 양이 너무 적거나 조리시간이 길면 유해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많이 나왔다. [중앙포토]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에어프라이어 10개를 대상으로 감자튀김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제품별 사용설명서에 따라 냉동 감자를 200℃ 이상에서 가장 많은 양을 오래 조리할 경우 검출된 아크릴아마이드는 30~270㎍/㎏ 수준으로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적은 양을 조리하면 최대 1720㎍/㎏까지 검출됐다. 재료의 양이 줄면 감자튀김의 색이 진해지고,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체발암 추정물질(Group 2A)’로 분류한다. 신경독성 위험도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주로 감자튀김과 감자 칩에서 많이 검출된다. 과자나 커피류, 시리얼 등에서도 나온다. 조리 온도가 높을수록, 조리 시간이 길수록, 삶거나 찔 때보다 굽거나 튀길 경우 아크릴아마이드가 많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연합은 식품군별 아크릴아마이드 검출 기준을 정해 관리하고 있다. 감자튀김의 경우 500㎍/㎏ 이내다. 국내에서는 식품 전체에서 잔류 권고기준을 1000㎍/㎏ 이내로 정하고 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