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실제론 정시 비중 50% 넘고, 강남·외고·자사고 쏠림 심해질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교육부가 28일 현 중3이 치르는 2023학년도 대입까지 서울 16개 대학의 정시를 40% 이상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교육계 안팎에선 기존 대입 지형의 지각 변동을 예상한다. 교육부는 서울 소재 대학들만을 겨냥한 ‘핀셋 권고’를 했지만 정시확대 기조가 다른 대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학종서 비교과 폐지 변별력 상실 #교육계 “대학들 정시 더 늘릴듯”

또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서 비교과가 축소되면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고교 수업이 수능 중심으로 바뀌고, 정시에 유리한 외고·자사고와 강남·목동 등 ‘교육특구’로의 쏠림이 심해질 것이란 예상도 이어졌다.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주요 내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주요 내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관련기사

교육계에선 대학의 실질적인 정시 확대 폭은 교육부 권고 수준인 40%를 넘어 대입 정원의 절반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매년 수시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시 모집에서 추가로 뽑는 ‘이월 인원’이 생기는데, 이를 합하면 실질적인 정시 비중은 45%는 될 것이란 관측이다.

또 학종의 비교과 활동 폐지로 학종을 포기하고 정시를 늘리는 대학이 나올 수 있다. 최근 3년(2017~2019학년도)간의 16개 대학 평균 이월 비율은 3.6%였다.

박태훈 전국대학입학처장협의회장(국민대 입학처장)은 “학종에서 수상경력·동아리·독서·봉사 등을 반영하지 못하게 되고, 자기소개서마저 폐지되면 대학은 우수 학생을 변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며 “대학은 정시를 늘리거나 학종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시확대 기조가 전체 대학으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교육부의 정시확대 명단에 이름을 올린 대학 16곳은 상위권 학생·학부모가 선호하는 대학이다.

수능위주전형 40% 확대시 모집 인원 변화. 그래픽=신재민 기자

수능위주전형 40% 확대시 모집 인원 변화. 그래픽=신재민 기자

이들 대학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이전보다 수능 대비에 더 집중할 수밖에 없고, 다른 대학도 이런 학생들의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정시를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조효완 광운대 입학전형전담교수는 “이번에 정부가 정시를 늘리라고 요구한 대학이 상위권부터 중위권까지 아우르고 있어 대부분 학생에게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정부는 일부 대학의 정시확대라고 발표했지만 사실상 전국 대학에 정시가 늘어난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입 지형도 달라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중3 학생은 다음달 치러지는 고입에서 정시 대비에 유리한 고교를 지원할 가능성이 크다.

2025년 고교학점제 도입까지 폐지가 유예된 자사고·외고나 강남·목동 등 정시에 강한 명문 일반고가 많고, 사교육 인프라가 좋은 ‘교육 특구 쏠림’ 현상도 심화할 수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최근까지 대입에선 학종이 대세라 내신 경쟁이 치열한 자사고·외고, 강남 일반고가 불리하고, 학종으로 대학을 못 가면 모집 인원이 적은 정시를 뚫어야 한다는 리스크가 있었다. 하지만 정부 기조가 바뀌면서 불리함이 사라졌기에 당장 올해 고입부터 이들 학교의 입학 경쟁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학교의 변화도 예상된다. 수시 선발이 늘면서 고교들이 수능보다 교실 수업이나 수행평가·동아리 활동을 강조했는데, 이젠 수능 위주 문제풀이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 한 일반고 교사는 “이미 수능 대비에 신경 써 달라는 학부모의 요구가 각 학교에 들어오고 있다. 수업 내용도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