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두율씨 "추방보다 처벌받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재독 사회학자 송두율씨는 2일 "1973년 노동당에 입당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후 노동당원으로 인식한 적이 없으며,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북측의)통보를 받거나 활동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宋씨는 이날 오후 서울 수유동 아카데미하우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날 "宋씨가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임을 시인했다"는 국가정보원 수사발표 내용을 부인하면서 이렇게 주장했다.

宋씨가 이날 자신의 혐의를 전면 부인함에 따라 국정원으로부터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이 그에 대한 재수사 과정을 거쳐 원칙대로 기소할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지검 공안1부는 3일 오전 宋씨를 소환, 국정원 수사 내용을 토대로 ▶정치국 후보위원 선임 여부 및 활동 상황 ▶북측에서 받은 돈의 성격 ▶해외 유학생 입북 권유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宋씨는 '그간의 활동에 대한 자성적 성찰'이라는 회견문에서 "북한 권력서열 23위인 '정치국 후보위원 김철수'로 활동할 것을 북한이 요구한 적도, 내가 수락한 바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북에서 나에게 정치국원으로 일방적으로 모자를 씌웠다" "그냥 사후에 인지만 하고 있었다"며 추후 후보위원이 된 사실을 알게 됐음을 인정했다.

그는 "실정법 위반 부분은 혐의에 따라 처벌을 받겠다"면서도 "37년 만에 밟은 조국인데 가장 상상하기 싫은 것은 추방"이라고 말했다.

북한 측으로부터 15만달러(약 1억8천만원)의 공작금을 받았다는 수사 내용과 관련, 그는 "학술지원비 6만~7만달러와 왕복 항공비 등 지금까지 모두 7만~8만달러를 받았지만 공작금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북한에 충성서약문을 써 보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노동당 창건일 등 경축일을 맞아 1년에 한 두차례 극히 형식적인 내용을 담아 보낸 축전이 와전된 것"이라며 "올해도 북한 측으로부터 노동당 창건행사에 초대받아 비행기 표까지 마련했으나 취소하고 한국에 왔다"고 밝혔다.

그는 또 "86년 재독 유학생 오길남씨의 재입북을 권유한 사실이 없으며, 어느 누구의 입북도 주선하지 않았다. 국정원 조사에서도 그렇게 말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宋씨의 해명에 대해 국정원 측은 "宋씨가 정치국 후보위원임을 시인하고 진술서에 서명했으며, 오길남씨에게 방북을 권유한 사실도 확인됐다. 그의 주장은 허위다"라고 반박했다.

조강수.전진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