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조국 반대 60%···20대가 70% 최다, '자칭 진보'도 반대 더 많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에는 세대·이념·지역을 넘어 반대가 우세했다. 세대별로는 20대의 반대가 두드러졌고,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도 반대가 우세했다.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지난 23~24일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긴급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자칭 진보” 응답자 반대 더 많아 #정의당 지지층 찬 49% 반 42% #호남지역은 찬성 44%, 반대 40%

◇20대 10명 중 7명이 반대=20대 응답자 중 조 후보자 임명에 대한 찬성은 16.2%에 그쳤다. 반대는 68.6%였다. 60세 이상(찬성 15.0%, 반대 65.0%)보다 반대 응답이 많았고, 찬성 응답은 50대(찬성 27.2%, 반대 64.8%)보다 적었다. 30대(찬성 40.1%, 반대 49.1%)·40대(찬성 42.6%, 반대 50.9%)도 반대가 찬성보다 더 많았지만, 그 차이는 20대와 50대 이상보다는 적었다.

각 표본수는 적지만, 20대 중에서도 남성의 반대가 뚜렷했다. 20대 남성 응답자 중 조 후보자 임명에 반대한다는 의견은 77.6%로, 60세 이상 남성(반대 66.3%)보다 많았다. 20대 여성 응답자 중 반대는 57.7%로 다소 차이가 났다.

전체 성·연령층을 통틀어 찬성 응답이 과반인 경우는 없었다.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23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중앙광장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딸의 입학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23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중앙광장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딸의 입학 비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진보도 반대우세=이번 조사에선 응답자에게 이념 성향을 물었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진보적’이라고 밝힌 이들은 27.2%, 중도 37.1%, 보수 26.0%였다.(모름·무응답 9.7%)

이중 진보적이라고 답한 사람 중에서도 조 후보자 임명에 찬성하는 의견은 44.9%, 반대 의견은 47.9%로 반대가 3.0%포인트 높았다. 자신을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 중에서는 14.6%가 찬성했고, 77.2%는 반대했다.

중도층에서도 조 후보자 임명에 반대하는 견해가 더 많았다. 자신의 이념이 ‘중도적’이라고 생각하는 이들 중 찬성은 26.6%, 반대는 61.4%였다. ‘모름·무응답’ 응답자 중 찬성은 11.8%에 그쳤고, 반대는 46.9%였다. 다만, 입장을 밝히지 않은 응답도 41.3%였다.

진보 성향 응답자가 조 후보자 임명 반대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여러 의혹 때문에 공정·정의를 내세울 자격이 없어서’(61.1%)였다. ‘말과 행동이 달라서’(19.9%),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에 오히려 방해가 될 거 같아서’(11.3%)가 그 뒤를 이었다. 보수 성향 응답자의 경우 ‘여러 의혹 때문에 공정·정의를 내세울자격이 없어서’(44.6%)와 ‘말과 행동이 달라서’(40.7%)가 비등했다.

지지 정당별 차이는 확연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응답자 중에선 조 후보자 임명 찬성이 55.2%, 반대는 33.2%였다. 찬성 응답이 22.0%포인트 많았다.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자 중에선 4.4%만이 조 후보자 임명에 동의했다. 반대는 88.9%였다.

‘데스노트(일본 원작 만화 제목으로 어떤 이의 이름을 쓰면 그 사람은 죽는 사신의 공책)’를 쥐고 있다는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찬성 응답이 49.1%, 반대 응답이 41.7%였다.

조국 후보자 관련 여론조사.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조국 후보자 관련 여론조사.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PK서도 “임명 반대”=지역별로는 호남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조 후보자의 임명을 반대하는 응답이 찬성 응답보다 많았다. 호남(광주·전라) 지역 응답자 중 찬성은 44.3%, 반대는 40.0%로, 그 차이는 4.3%포인트였다.

조 후보자 임명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그의 고향인 부산·울산·경남(PK)에서도 높았다. PK 응답자 중 찬성은 20.8%, 반대는 62.9%였다. 반대 응답이 가장 많은 지역은 대구·경북(TK·69.0%)이었고, 서울(67.4%)과 강원·제주(63.3%)가 그 뒤를 이었다. 찬성 응답이 가장 적은 지역은 TK(17.5%), PK(20.8%), 서울(23.7%) 순이었다. 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찬성 29.9%, 반대 59.4%), 대전·세종·충청(찬성 38.5%, 반대 50.7%)도 반대가 절반을 넘었다.

모든 지역에서 ‘여러 의혹 때문에 공정·정의를 내세울 자격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반대 이유 1위였지만, 대전·세종·충청에서만 ‘말과 행동이 달라서’(43.5%)라는 응답이 ‘자격이 없어서’(34.2%)라는 답보다 많았다.

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됐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지난 23~24일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것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해 유·무선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전화면접(유선 269명, 무선 731명)을 실시했다. 평균 응답률 15.2%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