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본 노인가구 소득 월 335만원, 그래도 고민하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해 7월 개봉한 일본 영화 ‘어느 가족’(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영화는 실제 가족은 아니지만, 가난 속에서 가족 공동체를 이룬 아저씨·아가씨·소년·소녀가 할머니의 연금으로 겨우 생활하는 모습을 그린다. 어느 날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지만, 이들은 쉽게 장례를 치르지 못한다. 할머니의 죽음을 알리면 연금이 끊기기 때문이다. 과연 일본 고령층은 영화에서처럼 가족 5명을 부양할 소득이 있을까? 한국은 어떨까. 중앙일보가 18일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분석했다.

한국 128만원의 2.6배에 달해 #일본 일자리 많아 빈곤율 낮지만 #“연금만으론 노후에 2억 부족” #아베도 연금개혁 ‘아킬레스건’

한일 노인가구(소득계층별 분류).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한일 노인가구(소득계층별 분류).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 일본 후생노동성 ‘국민생활기초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원화 환율(100엔=1011.6원)로 환산한 일본 노인가구(65세 이상 가구주·배우자가 생계주부양자인 가구) 평균 월 소득은 334만9000원(2018년)이다. 지난해 4분기 국내 일반 가구 소득 2분위(하위 20~40%) 계층 소득(277만3000원)보다 많고 3분위(상위 40~60%) 계층 소득(410만9700원)보다는 적다.

반면 한국 노인가구의 지난해 가구당 평균 월 소득은 128만6000원이었다. 일본 노인가구의 40%에도 못 미친다. 일본은 한국보다 1인당 국민소득이 더 높다. 세계은행이 집계한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 수준은 한국(3만600달러)이 일본(4만1340달러)의 74%다. 그러나 노인가구 소득은 평균 가구원 수, 취업 인원 등 생활 조건은 비슷한데도 한국이 일본보다 특히 낮다. 한국 노인가구 대다수가 빈곤가구에 속해서다. 일본 노인가구 중 소득 하위 20%(1분위)에 속하는 가구는 36.5%인 반면, 한국은 61.3%다.

전문가들은 일본의 노인 빈곤율이 낮은 이유는 공적 연금과 함께 민간 노인 일자리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일본은 1961년부터 국민연금제도가 시작돼 현재 노년층이 혜택을 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이 국민연금을 도입한 건 1988년부터다. 또 지난해 일본의 실업률은 26년 만에 최저 수준인 2.4%로 일손이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 한국은 민간 일자리 감소로 노인 일자리 사업 등 공공 단기 일자리 정책에 의존하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지난 13일 내놓은 ‘고용안전망 확충사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 일자리 사업 민간 분야 비중은 2016년 23%에서 지난해 16%로 감소했다.

옥동석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는 “취업하려는 노인은 많은데 민간 일자리는 충분하지 않다”며 “정부의 단기 일자리 공급 정책으로는 근본적인 노인 빈곤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본에서 연금 문제는 아베 정권의 ‘아킬레스건’이다. 2007년 1기 아베 정부는 5000만 건의 국민연금 납부기록을 분실해 민주당에 정권을 넘겨줬다. 올해 6월에는 일본 금융청이 ‘연금 만으론 부족해 노후를 위해 1인당 2000만엔(2억2800만원) 정도의 저축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지지율이 3%포인트 하락(마이니치신문 여론조사)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일본 전철을 밟지 않도록 미리 연금 제도를 다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진 NH농협증권 100세시대연구소장은 “노인은 늘고, 청년층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적게 내고 많이 받는’ 국민연금 구조가 지속할 수 없다”며 “납부자 저항이 있더라도 국민연금 부담률을 높이고, 연금의 운용 수익을 높이기 위한 운용 전문가 영입 대책도 세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