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광복절에 애국 투어 가볼까? 일제 근대 유산 어디에 있나

중앙일보

입력

일본식 사찰인 전북 군산 동국사. 일제 강점기 군산에 살던 일본인 불자를 위해 만들어졌다. [중앙포토]

일본식 사찰인 전북 군산 동국사. 일제 강점기 군산에 살던 일본인 불자를 위해 만들어졌다. [중앙포토]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2019년. 광복절의 의미도 남다를 수밖에 없다. 8월 15일을 맞아 가볼 만한 유적지를 추렸다.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의 가슴 시린 역사를 품은 곳들이다.

일제 수탈의 기억 - 목포 원도심

목포근대역사관. 1900년 건립돼 1907년까지 일본 영사관으로 사용되었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목포근대역사관. 1900년 건립돼 1907년까지 일본 영사관으로 사용되었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목포항 일대는 일제 강점기 수탈을 위한 전초기지였다. 목포 원도심엔 당시 일본이 세운 건물이 숱하게 남아 있다. 옛 목포 일본 영사관(근대역사관 본관), 옛 동양척식 주식회사(근대역사관 별관), 옛 동본원사목포별원(오거리문화센터)을 비롯해 일본인이 살았던 이훈동 정원 등이다. 쓰라린 역사의 흔적이자, 근대 건축유산이다. 근대역사관에서는 목포가 3.1만세운동과4.8만세운동 등을 거치며 항거했던 역사적인 모습들을 만나볼 수 있다. TV 드라마 ‘호텔 델루나’ 속 델루나 호텔의 외관은 근대역사관 본관에서 촬영한 것이다.

100년 전 그날의 함성 - 군산 근대화거리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일제 강점기 치열한 삶을 살았던 군산사람들의 모습을 재현한 공간이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일제 강점기 치열한 삶을 살았던 군산사람들의 모습을 재현한 공간이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군산 역시 일제 수탈사에서 빠질 수 없는 장소다. 호남평야에서 생산된 쌀이 군산항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군산부윤관사, 동국사 등 일제 강점기 건축이 지금 신흥동·월명동·영화동 일대에 몰려 있다. 3.1 운동 100주년 기념관이 지난해 구암동 군산 3.1운동역사공원에 개관했다. 항일 독립운동에 대한 역사를 배우고, 애국지사를 추모할 수 있는 곳이다.

한국전쟁이 남긴 것- 거제도포로수용소 유적공원

거제도 계룡산에 자락에 자리한 거제도포로수용소 유적공원. 한국전쟁 당시 가장 규모가 컸던 포로수용소였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거제도 계룡산에 자락에 자리한 거제도포로수용소 유적공원. 한국전쟁 당시 가장 규모가 컸던 포로수용소였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15만 명, 중공군 2만 명 등 최대 약 17만 3000명이 수용되었던 곳. 포루수용소로는 한국전쟁 당시 가장 규모가 컸다. 계룡산(554m) 동쪽 자락에 1950년 설치돼, 53년 7월 폐쇄됐다가, 다시 99년 유적관으로 문을 열었다. 야외 막사, 탱크전시관, 포로생활관, 여자포로관 등 전쟁 당시의 모습과 궁핍했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모노레일, 평화탐험체험관, VR체험관 등 즐길 거리가 제법 다양하다. 모노레일을 타면 계룡산 정상까지 편하게 오를 수 있다.

독립운동의 산실 – 안동 임청각

석주 이상룡(1858~1932)의 생가 임청각. 독립 유공자 10명을 배출한 곳이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석주 이상룡(1858~1932)의 생가 임청각. 독립 유공자 10명을 배출한 곳이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안동은 가장 많은 민족 투사를 배출한 고장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약 350명의 독립 유공자가 나왔다. 500년 역사의 임청각은 3대가 독립 투쟁에 나섰던 석주 이상룡(1858~1932)의 생가. 보물 제182호로 지정돼 있다. 이 집에서만 독립 유공자 10명이 배출됐다. 민간 살림집 가운데 가장 큰 99칸 가옥이었지만, 지금은 절반가량이 남았다. 임청각은 내부 관람뿐 아니라 고택 체험도 가능하다. 차로 20분 거리에 경상북도 독립운동기념관이 있다. 1894년 갑오 의병부터 1945년 광복까지 이어진 경북 독립지사의 투쟁사를  수 있다.
백종현 기자 jam1979@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