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제주·남부 장마 시작…중부지방에도 장맛비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26일 제주와 남부지방에 장마가 시작되겠다. 평년에 비해 열흘가량 늦은 지각 장마다. 장마전선이 더 북상할 경우 중부지방에도 26~27일 장맛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7월 11일 아침 장맛비가 내리는 서울 광화문 광장을 직장인들이 우산을 쓰고 지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26일 제주와 남부지방에 장마가 시작되겠다. 평년에 비해 열흘가량 늦은 지각 장마다. 장마전선이 더 북상할 경우 중부지방에도 26~27일 장맛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7월 11일 아침 장맛비가 내리는 서울 광화문 광장을 직장인들이 우산을 쓰고 지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26일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장마가 시작될 전망이다. 장마전선의 위치에 따라 중부지방에 장맛비가 내릴 가능성도 있다.

서울·경기엔 폭염주의보 발표

기상청은 "25일은 동해 상에 위치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맑겠으나, 중부지방은 오후에 가끔 구름 많겠다"며 "26일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북상하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고 새벽에 제주도부터 비가 시작돼 낮에는 남부지방에도 비가 오겠다"고 밝혔다.

24일 오후 9시 현재 장마전선의 위치. 제주도 남쪽 대만과 오키나와를 지나고 있다. [자료 기상청]

24일 오후 9시 현재 장마전선의 위치. 제주도 남쪽 대만과 오키나와를 지나고 있다. [자료 기상청]

27일에는 중부지방은 동해 상에 위치한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겠고, 남부와 제주도는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다가 벗어나겠다.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남부와 제주도에는 비가 오다가 낮에 호남 서해안부터 그치기 시작해 오후에 대부분 그치겠으나, 영남에서는 밤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26~27일 지역별 예상 강수량은 ▶경남 해안, 제주도 20~60㎜ ▶남부지방(경남 해안 제외), 울릉도·독도(27일) 10~40㎜ 등이다.

장마전선은 28일 일시적으로 일본 열도로 남하했다가 주말인 29일에 다시 북상하면서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전선의 위치에 따라 26~27일 강수 구역과 강수량의 변동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 상하이 부근에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장마전선이 좀 더 북상할 가능성이 있어 26~27일 중부지방도 장맛비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어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25일 오전 10시 기준 폭염주의보 발효 구역. [자료 기상청]

25일 오전 10시 기준 폭염주의보 발효 구역. [자료 기상청]

한편, 서울과 경기 내륙, 강원 영서에는 이날 오전 10시 폭염주의보가 발효된다. 경북 내륙에도 폭염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이들 지역은 26일까지 낮 기온이 33도 안팎까지 오르는 곳이 있겠다.
또, 내륙을 중심으로 기온이 30도 이상 오르면서 덥겠다.

강찬수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