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이냐 아니냐”…'포스트 문무일' 이번 주 윤곽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윤석열이냐, 아니냐."

총장추천위 13일 오후 개최 #이번 주 후보군 3~4명 압축 #"임명권자 의중이 가장 중요"

최근 법조계 인사들의 모임마다 나오는 질문이다. 차기 검찰총장 인선 절차가 진행 중인 현재, 법조계의 가장 큰 관심사는 '포스트 문무일'이 누구냐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의 파격 임명 가능성에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1 경쟁률…이번 주 윤곽 나온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문무일(58·사법연수원 18기) 검찰총장의 뒤를 이을 차기 검찰총장 후보군은 현재 8명으로 좁혀진 상태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3일 "청와대는 현재 검찰총장 후보 추천절차에서 천거된 후보 중 검증에 동의한 8인에 대한 검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문 총장의 사법연수원 한 기수 후배인 19기에선 봉욱(54) 대검찰청 차장과 조은석(54) 법무연수원장, 조희진(57) 전 서울동부지검장, 황철규(55) 부산고검장의 검증 작업이 진행 중이다. 20기에선 김오수(56) 법무부 차관과 김호철(52) 대구고검장, 이금로(54) 수원고검장이 검증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수원 23기인 윤석열(59) 서울중앙지검장도 이름을 올렸다.

8명 후보군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위원장 정상명 전 검찰총장)를 통해 3~4명가량으로 압축된다. 법무부는 추천위 첫 회의를 오는 13일 오후에 연다. 추천위원 간 견해차가 크지 않다면 회의는 단 한 번만 열릴 가능성이 높다. 추천위는 후보자들의 적격 여부를 판단해 3명 이상을 법무부 장관에게 추천한다. 장관이 이들을 대통령에게 임명 제청하면 문재인 대통령이 최종 1인을 낙점하게 된다.

"윤석열 포함 여부가 관전 포인트"

차기 검찰총장 후보군을 3명이상으로 압축할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가 오는 13일 오후 첫 회의를 연다. 사진은 총장후보추천위원장인 정상명 전 검찰총장. [중앙포토]

차기 검찰총장 후보군을 3명이상으로 압축할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가 오는 13일 오후 첫 회의를 연다. 사진은 총장후보추천위원장인 정상명 전 검찰총장. [중앙포토]

정치권과 법조계에서 차기 검찰총장 후보로 가장 주목하고 있는 사람은 윤석열 지검장이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윤 지검장이 최종 8인에 이름을 올렸다는 것은 총장 후보 검증 과정에 본인이 동의했다는 뜻"이라며 "윤 지검장이 의지를 보인 상태에서 청와대가 어떤 선택을 할지가 관전 포인트"라고 평가했다.

윤 지검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고검 검사에서 검사장으로 파격 승진했다. 승진과 동시에 고검장이 맡아오던 서울중앙지검장에 부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정농단 사건부터 사법행정권 남용 수사까지 주요 적폐사건 수사를 진두지휘하며 청와대의 신임을 얻었다.

청와대가 윤 지검장을 최종 1인으로 낙점하면 검찰에 미치는 충격파는 상당할 수밖에 없다. 윤 지검장이 임명될 경우 검찰총장 임기제가 도입된 1988년 이후 현행 총장과 가장 기수 차이가 크게 나는 후임이 된다. 임기제 이후 검사장이 고검장 승진을 거치지 않고 총장으로 직행한 첫 번째 사례가 된다.

법조계에선 검찰개혁 논의로 상처를 입은 검찰 조직이 '파격 인사'로 또 한 번 휘청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윤석열 카드'는 꺼내 들기 쉽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가 검찰 조직 안정에 비중을 둘 경우 봉욱 대검 차장과 김오수 법무부 차관, 이금로 수원고검장 등 사법연수원 19~20기 가운데 한명이 낙점될 가능성이 크다.

여권 관계자는 "차기 검찰총장이 누가될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것"이라며 "임명권자의 의중이 누구에게 있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추천위 논의를 통해 압축된 3~4인 가운데 최종 1인을 지명하는 건 결국 문재인 대통령의 몫이다.

김기정 기자 kim.ki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