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北 식량난 직접 듣겠다” 비슬리 “일일 배급량 심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데이비드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데이비드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방한 중인 데이비드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이 13일 문재인 대통령을 시작으로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과 각각 면담하며 최근 보고된 북한의 열악한 식량 사정 등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의 서면브리핑에 따르면 비슬리 사무총장은 문 대통령에게 먼저 북한 식량 사정에 대한 WFP와 세계식량농업기구(FAO)의 공동조사 결과 보고서 내용을 설명하고 북한 내 일일 배급량이 심각하게 적은 수준으로 파악돼 우려를 표했다.

WFP와 FAO가 공동 조사해 지난 3일 공개한 ‘북한의 식량안보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북한의 식량 사정은 최근 10년 사이에 최악으로, 긴급한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면 외부로부터 136만t의 식량 지원이 필요하다.

애초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비슬리 사무총장을 만날 계획이었으나 문 대통령이 직접 만나 브리핑을 받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해 면담이 이뤄졌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비슬리 사무총장에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고, 비슬리 사무총장은 대북 식량 지원 방안에 대해 여러 의견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과거 우리가 어려웠을 때 WFP로부터 도움을 받은 것을 잊지 않는다”며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비슬리 사무총장은 문 대통령을 만나기에 앞서 김연철 통일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도 만나 북한 식량 상황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이와 관련한 견해를 나눴다.

비슬리 사무총장은 김 장관과 면담한 후 기자들에게 “(북한) 현지 상황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 장관과 면담한 후 ‘한국 정부에 식량 지원을 공식 요청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비슬리 사무총장은 “각 나라가 스스로 결정할 문제”라면서도 “이 나라 리더들이 진심으로 고통받는 (북한) 주민들을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를 찾은 데이비드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를 찾은 데이비드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데이빗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데이빗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과 면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