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월세·해외연수 지원…청년 희망정책으로 고령화 산 넘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지난 8일 부산 수영구 남천동 ‘부산청년 우리집’ 4호점 개소식에서 입주 청년 등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부산시]

지난 8일 부산 수영구 남천동 ‘부산청년 우리집’ 4호점 개소식에서 입주 청년 등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부산시]

부산시는 지난 8일 수영구 남천동에서 ‘부산청년 우리집’ 4호점 입주식을 했다. 단독주택 2채로 된 4호점에는 청년(18~34세) 7명이 입주했다. 거실과 부엌·화장실·방은 공동생활에 불편 없도록 개조됐다. 이는 비어있는 단독·연립주택 등을 개조해 대학생·취업준비생에게 싸게 빌려주는 공유주택(셰어하우스) 사업이다.

부산·대구, 청년 잡기 총력전 #공유주택 만들어 주거 안정 돕고 #목돈 마련 위한 ‘청년희망적금’도 #“출산율 감소, 고령화 속 고육지책”

4호점 입주자는 보증금 143만원에 18만~20만원의 월세를 낸다. 인근 원룸의 절반 수준도 안 된다. 이날 4호점 옆 5호점(단독 2채)에도 8명의 청년이 입주했다. 4·5호점은 경성대·부경대·동명대와 부산지하철 2호선 금련산역이 가까워 인기를 끌었다. 15명 모집에 118명이 신청해 8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이다.

4호점 입주자 김휘연(26)씨는 “작년 2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 준비 중”이라며 “지하철역과 수영구도서관이 가까워 편리하며 보증금·임대료가 싸서 좋다. 공동생활에 불편이 없다”고 말했다. 5호점 입주자 이상호(29)씨는 “취준생은 주거비 부담이 큰데, 인근 원룸의 3분의 1수준인 보증금 125만원에 월세 15만원에 입주해있다”고 자랑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속도가 빠른 부산·대구시가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려는, 특화된 청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청년에게 다양한 사회 진출 기회와 자립기반을 마련해주기 위해서다. 궁극적으론 인재의 지역 유출을 막고 청년 유입을 유도해 경제 활성화를 꾀하려는 전략이다. 고령화율은 부산 16.5%, 대구 14.7%다. 2017년 말 대비 2018년 말 인구는 부산이 347만653명에서 344만1453명으로, 대구는 247만5231명에서 246만1769명으로 각각 줄었다.

공유주택 사업은 고령화 등으로 빈집(1만4090가구)이 많은 부산의 특화사업이라 할 수 있다. 부산시는 광역지자체 중 처음으로 역시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부산청년 월세 지원사업’도 벌인다. 소득·주택 등에 따라 1000명 정도를 뽑아 월 10만원, 연간 90만원의 월세를 지원할 계획이다. 다음 달 11일까지 부산시 홈페이지 등에서 대상자를 모집 중이다.

사회이슈·진로 탐색 등을 하는 5인 이상의 ‘청년 커뮤니티(공동체)’에는 팀당 100만원을 지원하는 ‘부산청년 옹기종기 사업’도 올해 처음 펼친다. 부산시가 올해 펼치는 청년 정책은 총 96건이며, 국·시비 927억원이 투입된다.

대구시 청년 정책 중 ‘발품’ 사업은 주머니가 가벼운 청년에게 해외연수 기회를 주는 여행 지원사업이다. 지난해 처음 만들었다. 지난해 공모에서 선발된 청년 7명(2팀)이 독일·대만을 다녀왔다. 올해는 20명(5팀)에게 해외 탐방 기회를 준다. 지원금은 팀당 500만원이다.

대구형 청년수당인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금’도 있다. 취업 등 진로를 위한 상담에 참여하거나 취업·창업한 선배와 만나고, 시가 정한 사업장에서 5개월간 인턴을 하는 청년에게 교통비 등 명목으로 1인당 많게는 150만원, 적게는 30만원을 지급한다. 대구시는 올해 1466명을 뽑아 10억여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청년 채무 예방을 위한 ‘청년희망적금’ 제도도 대구에만 있는 청년 정책이다. 단기 일자리에 근무하는 청년이 월 10만원씩 6개월을 내면 대구시가 월 30만원씩 보태 240만원의 목돈을 마련해주는 제도다. 이밖에 취업 면접 정장 대여 서비스인 희망 옷장 사업, 창·취업 선배를 만날 수 있는 ‘청년 내일 학교’ 등도 대구시가 자랑하는 청년 정책이다. 김기환 부산시 성장전략본부장은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부산·대구 같은 지방 대도시의 청년 인구가 많이 감소하고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 다양한 청년 정책을 펴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대구=황선윤·김윤호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