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탐사하다] “1등은 왜 꼭 한 명이어야 하나…사다리 안 올라도 행복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교실이데아 ④ <끝> 전문가의 조언

2009~2010년 인기를 끌었던 KBS ‘개그콘서트’의 유행어(개그맨 박성광)다. 무한경쟁의 한국 사회에 대한 자조이기도 했다. 10대 아이들이 중심인 교육 현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각종 시험 성적으로 아이들을 줄 세우는 입시제도 하에서 한국의 ‘교실’은 병들어 갔다. 아이는 공부를 포기했고, 부모는 더 좋은 학군을 찾아 짐을 쌌다. 교사가 답을 제시하지 못하는 동안 학원은 ‘공포’를 불어넣었다. 중앙일보 탐사보도팀이 ‘교실이데아 2019’ 취재 과정에서 목격한 2019년 교실의 현주소다. 유행어가 나온 뒤 약 10년이 지났지만, 적어도 교실에서는 ‘구문(舊文)’이 아니었다.

시험 성적으로 줄 세우는 입시제도 속에서 교실은 점점 병들어 갔다. [일러스트=박향미]

시험 성적으로 줄 세우는 입시제도 속에서 교실은 점점 병들어 갔다. [일러스트=박향미]

취재에 응한 교육·복지·정신건강 전문가들은 “한국 사회의 획일성이 교육에 투영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계층 상승의 욕구가 만든, ‘교육 사다리’의 정점만을 향해 올라가려는 사회 분위기를 꼬집은 말이다.

송인한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한국의 중산층 부모들은 교육 투자라도 하지 않으면 나락으로 떨어질 것 같은 불안감 속에서 일종의 ‘도박’을 하는 셈”이라며 “‘교육 사다리’가 없어졌다고들 하는데, 사다리를 타지 않더라도 ‘각자의 자리에서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있는 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신과 전문의인 김현수 성장학교 ‘별’ 교장도 “1등이 한 명밖에 없도록 만드니까 교육 현장에서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 것”이라며 “공부해서 시험을 잘 보는 게 전부가 아니라는 ‘다중 지능’의 개념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제도권 교육이 아이들의 각기 다른 재능을 끌어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성적으로만 1등이 아니라 다양한 기준의 1등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다. 송형호 전 면목고 교사는 “영어 성적이 최하위권인 학생에게 영어단어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니 학습교재로 써도 될 정도의 수준이었다. 이런 아이가 애니메이션 학교에 가면 전교 1등”이라며 “‘지식 전달자’로서의 교사의 권위를 버리고, 아이가 잘하는 것을 끄집어내 자존감을 키워주는 ‘디자이너’가 돼야 할 때”라고 말했다. 심정섭 더나음연구소 소장은 “모두가 국·영·수에 ‘올인(All-in)’하는 게 교육이 아니라, 아이들이 잘하는 걸 더 잘하게 만드는 게 교육”이라며 “사교육도 웹툰을 좋아하면 미술 학원을, 드론을 좋아하면 드론 학원을, 뷰티에 관심이 있으면 미용 학원을 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공부 외의 대안을 마련하는 건 결국 국가의 몫이라는 견해도 있었다.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 가면 성공할 수 있다’는 공식만을 경험한 현재 부모 세대에게만 맡겨 놓는 건 무책임하다는 것이다. 김동일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는 “공부하지 않겠다는 아이들에게는 무엇을 가르칠지 고민해야 하는데, 아무도 그 얘기를 하지 않는다”며 “부모에게만 맡겨둘 게 아니라 국가가 나서서 ‘가보지 않은 길’의 기반을 닦아 주는 게 선진화된 사회”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입시 과정에서 마음의 병을 앓는 아이들을 위해선 무엇보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홍현주 한림대 ‘자살과 학생 정신건강 연구소’ 소장은 “부모들이 교육에 몰두하는 이유는 ‘이 길이 아니면 정말 아니다’라는 걸 뼈저리게 느꼈던 세대이기 때문이지만, 아이들은 이런 식의 공부를 한다고 해서 최상위가 될 수 없다는 걸 이미 잘 알고 있다”며 “그걸 인정하고 이해할 때 부모·자녀 사이의 실질적인 대화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전상용 전 동덕여고 교장은 “부모는 최초의 교육자”라며 “교육에 대한 지식을 키우기 위한 ‘부모로서의 소양 교육’을 이수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탐사보도팀=유지혜·정진우·하준호 기자 wisepe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에서 [교실이데아 2019] 학부모 선호도 높은 초등학교, 서울대 진학률이 높은 고등학교를 인포그래픽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10238)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