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공수처, 청와대 민정수석이 야당 압박해 풀 일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그제 ‘유시민의 알릴레오’에 출연해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는 촛불혁명의 요구’라고 주장했다. “(현재) 국회는 촛불혁명 이전에 구성되어 있어, 촛불혁명 이후에 국민의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는 괴리가 있다”면서다. 그는 또 “야당이 공수처 수사대상에서 (국회의원을) 제외하지 않겠다고 하니 오히려 다행”이라며 “반드시 그렇게 해달라”고 했다. 그는 지난달 22일 청와대 국민청원 답변에 나서 “행정부 고위공직자, 판·검사만 공수처 수사대상으로 하고 국회의원 등 선출직은 제외할 수 있다”고 말했다가 “국회 조롱”(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이라는 비판을 샀다. 공수처 법안은 국회 사법개혁특위에서 논의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 수석이 두 번씩이나 공개적으로 야당을 압박하는 모양새도 부적절했거니와, 국회를 촛불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려는 정치적 의도도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

사실 조 수석이 당시 ‘국회의원의 공수처 수사 대상 배제’ 가능성을 밝힌 건 옳지 않다. 야당이 공수처 신설을 막고 있으니 그렇게 해서라도 법안을 통과시키려 한 것이라고 항변할 순 있겠지만, 국민 입장에선 “그럴 거면 공수처를 도대체 뭐하러 만드냐”고 되물을 수밖에 없다. 또한 자신이 공개적으로 툭 던지듯 한 말에 야당 입장이 달라진다면, 지금까지의 반대가 ‘수사 대상 배제’를 목적으로 한 것이 될 텐데 선뜻 호응하리라 봤는지도 의문이다. 야당의 부정적 반응이 뻔한데 마이크를 잡았다면 진지한 제안이었다기 보다는 압박용이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공수처는 검찰의 무소불위한 권력을 견제한다는 차원에서 원론적으론 필요하다. 차분히 ‘정권의 야당 탄압 도구 아니냐’는 의구심을 풀어주면서 협상과 설득으로 풀 일이다. 공은 국회로 넘어가 있는데 민정수석이 여론몰이에 나서 야당을 자극하는 건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