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4대강 해체? 중대한 직권남용…회의록 잘 보관하셔야”

중앙일보

입력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중앙포토]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중앙포토]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7일 4대강 5개 보(洑) 처리 방안에 대해 “이런 국가적 자산을 이런 엉터리 결정 과정이나 평가 방식으로 파괴하면, 중대한 직권남용”이라고 말했다.

이 전 수석은 이날 SBS라디오 ‘김성준의 시사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방송에서 심한 얘기를 하는지는 모르지만, 결정했던 과정과 회의록 잘 보관하고 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나중에 똑같이 지금처럼 적폐 청산이 일어나면 모두 다 처벌받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셔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실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며 “수천억을 들여서 지었던 보를 수백억을 들여서 거의 천억 넘는 돈을 들여서 헌다는 것인데, 그동안의 과정을 보면 보를 해체해야 하는 논거를 조작했다고 얘기할 정도의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지시해서 감사한 감사원의 용역보고서에 4대강 수질 개선에 대해 좋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그런데 갑자기 7개월도 안 돼서 그게 수질이 나빠졌다고 탈바꿈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때는 99개 곳에서 아주 철저히 조사했는데, 이번에는 5군데만 자기들이 편한 항목만 집어넣어서 거꾸로 만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2일 환경부 4대강 조사ㆍ평가 기획위원회는 금강ㆍ영산강의 5개 보 처리 방안을 발표하며, 5개 보 중에서 금강 세종보와 공주보, 영산강 죽산보는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평가 결과를 내놓았다. 또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는 해체보다는 수문을 상시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4대강 보의 재자연화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었다. 이 같은 발표가 있은 후 정치권 반발과 농민ㆍ주민 시위 등이 잇따랐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