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고대사태」진정국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본관 점거농성과 수업거부·임시휴업등으로 학교운영이 4개월째 혼미를 거듭했던 고려대사태는 20일 이준범총장의 사퇴서 제출로 일단 진정국면을 맞게됐다.
그러나 이총장퇴진이 일시적으로 현재의 학내사태해결에 도움을 즐수 있을지는 모르나 후임총장 선출방식 등 학원민주화를 줄기차게 요구해온 학생들의 재단·학교측에 대한 근본적인 불만이 해소되지 않는한 분규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더욱이 이총장의 사퇴서제출 사태까지 몰고 온 서창캠퍼스 학생들의 인촌동상을 볼모로한 농성·시위는 이총장의 퇴진후에도 지방캠퍼스 발전계획수립, 징계(퇴학)학생 구제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재연될 전망이어서 학내사태는 총장 재선출 문제와 맞물려 의외로 장기화될 가능성도 큰 것이다.
특히 총장 즉각 퇴진만이 사태해결의 지름길이란 판단을 내린 교우회가 직접 나서 이총장 퇴진의 단호한 결의를 이총장과 재단측에 전달, 학내분규의 급한 불을 일단 끄긴 했으나 고려대 최초의 직선총장을 3개월여만에 불명예 중도하차시킬 수 없다는 일부 교수들의 반발도 앞으로의 사태추이에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고려대가 총장퇴진등을 둘러싸고 큰 진통을 겪기 시작한 것은 지난 2월초부터로『총강선출은 교수의 고유권한』이라고 주장하는 교수들과 『총장선출과정에 학생·직원등이 참여해야 한다』는 학생들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며 총장선출방식을 둘러싸고 빚어진 교수·학생의 대립에서 비롯됐다.
이같은 이견은 3월초 교수협의회의 총장선출 과정에서 사제간에 몸싸움이 벌어지는 등 감정대립으로까지 발전했고 학생들이 이에 항의해 총장실 등 본관점거농성을 벌인데 이어 급기야는 이총장을 부정입학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에 이르렀다.
학교측은 이에 맞서 4월15일 임시휴업이라는 극약처방을 내려 학내사태는 악순환을 거듭했다.
그러나 학교·학생 양측이 모두 휴업의 장기화는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점거 농성과 휴업조치를 각각 해제, 지난 달 8일부터는 사태가 일단 진정국면에 접어 들었다.
이런 가운데 서창캠퍼스 학생들은 80년 분교 설립이후 유사·중복학과 실치와 투자 소홀로 본교와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며 휴업해제 이후에도 교내농성과 수업거부·강의진행 방해등을 계속, 학교측으로부터 학생회간부 5명이 퇴학처분을 받자 지난 8일 상경해 총장실등 본관 점거농성에 들어갔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