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정치인 태클에 뉴욕 단칼에 버렸다

중앙일보

입력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뉴욕에 제2본사를 세우려던 계획을 백지화했다. 뉴요커의 70%가 아마존 본사 설립을 찬성했지만, 일부 정치인들의 반대가 아마존의 발길을 돌려세웠다.

뉴욕 제2본사 계획 백지화 성명 발표 #버지니아주 제2본사로만 추진할 계획 #일자리 사라졌지만 해석도 제각각

아마존은 1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많은 고민과 검토 끝에 뉴욕 퀸스의 롱아일랜드시티에 제2 본사를 세우려는 계획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본사 건립에 해당 지역 선출직 공직자들의 긍정적인 협력이 필요한데, 현재로선 그같은 협력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판단한 것이다.

아마존의 제2본사가 들어서려다 백지화된 뉴욕 롱아일랜드시티. 최정 미주중앙일보 기자

아마존의 제2본사가 들어서려다 백지화된 뉴욕 롱아일랜드시티. 최정 미주중앙일보 기자

미 서부 시애틀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마존은 지난해 11월 제2 본사 부지로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북부 내셔널 랜딩과 뉴욕 퀸스의 롱아일랜드시티를 각각 선정했다. 각각의 본사에 2만5000명의 신규 인력을 고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뉴욕의 일부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커졌다. 애초 뉴욕주와 뉴욕시가 약속했던 30억달러(약 3조4000억원)의 세제 인센티브의 근거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일자리를 만든 대가에 비해 아마존이 가져가는 이득이 지나치다는 지적이었다.

당장 임대료가 오른 주민들의 불만도 터져나왔다. 퀸즈 일대 집값이 30%이상 치솟으면서 원주민이 외곽으로 밀려나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의 전조를 보이기 시작했다.

뉴욕 정치인들은 아마존 뉴욕본사에 노조가 설립돼야 한다고 요구하며 인센티브 법안 통과를 저울질했다. 아마존은 무노조 정책을 고집해온 터라 받아들이기 힘든 제안이었다.

이런 상황에서는 뉴욕주 의회에서 ‘아마존 인센티브 법안’이 처리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아마존이 미련없이 뉴욕 제2본사를 포기하는데 한몫했다. 버지니아주에서는 인센티브 법안이 지난주 처리됐다.

아마존은 성명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제2본사 입지를 다시 물색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버지니아주와 내슈빌에서는 계획된 일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테네시주 내슈빌에는 아마존의 운영ㆍ물류 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아마존의 제2본사가 들어설 뻔한 뉴욕 롱아일랜드시티와 건너편 맨해튼 일대. 최정 미주중앙일보 기자

아마존의 제2본사가 들어설 뻔한 뉴욕 롱아일랜드시티와 건너편 맨해튼 일대. 최정 미주중앙일보 기자

아마존의 뉴욕본사 계획 백지화가 발표되자 비협조적이던 정치인들이 아마존을 일제히 비난했다.

마이클 지아나리스 뉴욕주 상원의원은 “뉴요커들이 아마존에 맞서서 원하던 바를 성취한 것”이라며 “아마존은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협상 대신 공을 갖고 뉴욕을 떠났다”고 말했다.

지아나리스 의원은 아마존의 각종 사업프로젝트 승인권을 지닌 공공승인통제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아마존과 갈등을 키워왔다.

아마존에 노조 설립을 요구해온 빌 드 블라시오 뉴욕시장 또한 “우리는 아마존에 좋은 이웃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줬는데 그런 기회를 던져버렸다”고 아마존을 비난했다.

그러나 아마존의 백지화를 아쉬워하는 시민도 적지 않았다. 퀸즈에서 변호사로 일하는 베어리 시델은 “2만개가 넘는 일자리와 퀸즈가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허공으로 사라졌다”면서 “아마존을 떠나게한 정치인들이 멍청한 짓을 저질렀다”고 말했다.

아마존 반대 정치인을 비난해온 앤드루 쿠오모 주지사는 침묵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지난 8일 “만약 아마존이 뉴욕으로 오지 않는다면, 일부 지역정치인들의 반대 탓”이라며 “아마존을 막은 그들이 직접 주민들에게 해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버지니아 주 정부는 어부지리를 기대하고 있다. 아마존의 뉴욕계획 백지화로 일자리가 2만5000개에서 대폭 늘어난 3만7500개가 생길 것으로 예상했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