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광주형 일자리 '2전3기' 끝 첫발 …광주 완성차공장, 4년 우여곡절 끝 결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현대차의 완성차 공장이 들어설 광주에 위치한 기아차 광주 2공장 생산 라인 모습. [뉴스1]

현대차의 완성차 공장이 들어설 광주에 위치한 기아차 광주 2공장 생산 라인 모습. [뉴스1]

고용절벽 해소를 목표로 추진돼 온 ‘광주형 일자리’가 사업 추진 4년8개월간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결실을 보게 됐다.

광주시·현대차, 4년 진통 끝 ‘결실’ #노사민정 대타협, 차공장 잠정합의 #2차례 협약식 무산 뒤 31일 협약식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30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회의를 갖고 현대차 광주합작공장 제1, 2대 주주가 될 광주시와 현대차의 잠정 합의안을 심의한 후 의결했다. 지난해 6월 1일 현대차가 제안서를 제출한 지 8개월만, 지난달 5일 최종협약 타결 직전에 무산된 지 56일 만이다.

광주시는 31일 오후 2시 광주시청에서 현대차 광주공장 설립을 위한 협약식을 갖고 광주 완성차 공장 설립의 첫 단추를 끼운다. 민선 6기때 시작돼 4년이 넘는 기간 동안 협약식이 두 차례나 무산된 끝에 마침내 첫발을 뗄 수 있게 된 것이다.

30일 오후 광주시청 중회의실에 이용섭 광주시장(왼쪽)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전남본부의장이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결과를 발표하고 손을 들어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오후 광주시청 중회의실에 이용섭 광주시장(왼쪽)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전남본부의장이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결과를 발표하고 손을 들어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단체협약 조건이 발목을 잡으면서 좌초 위기에 놓였던 협상 분위기는 광주시의 끈질긴 물밑 협상과 현대차 측의 통 큰 결단을 통해 타결 쪽으로 급선회했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달 6일로 예정됐던 현대차와 협약식을 눈앞에 두고 ‘임단협 5년 유예기간’ 문제를 둘러싼 이견 때문에 무산된 바 있다. 노사민정협의회는 이날 노동계와 현대차가 첨예하게 대립해왔던 ‘단체협약 유예’ 조항을 보완한 잠정합의안을 통과시켰다.

광주형 일자리의 시작점은 2014년 6월 지방선거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윤장현 전 광주시장이 ‘연봉 4000만원, 일자리 1만 개 창출’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사회적 화두로 급부상한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 일러스트. 중앙포토

광주형 일자리 일러스트. 중앙포토

광주형 일자리의 프레임은 독일 폭스바겐의 ‘아우토(AUTO) 5000’ 등에서 따왔다. 폭스바겐은 2002년 대량 실업사태를 겪으면서 아우토 5000이란 별도 공장을 세워 지역경제 붕괴와 고용불안을 동시에 해결했다. 실업자 5000명을 고용한 뒤 기존 근로자보다 20%가량 낮은 임금을 줌으로써 일자리를 나눈 게 맞아 떨어진 결과다.

현대차 측이 광주시의 지속적인 러브콜에 관심을 보인 것은 민선 6기 마무리 시점인 지난해 6월 1일. 당시 현대차는 광주시에 완성차 공장 설립을 위한 지분투자 의향서를 제출하면서 사실상 처음으로 이 사업에 참여를 현실화했다. 하지만 곧바로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가 드러나면서 지난해 6월 19일로 예정된 투자 협약식이 연기되면서 사업 추진에 급제동이 걸렸다.

소강상태로 접어든 사업 추진에 다시 힘이 실린 것은 지난해 11월. 광주시는 노동계의 의견을 반영해 만든 협약서를 토대로 ‘투자유치추진단’과 협상단을 꾸려 현대차와 재협상에 돌입했다. 이후 협상단은 현대차 측과 접점을 찾아가면서 지난달 4일 현대차와 사실상 합의를 이끌어냈지만 막판 단체협약을 둘러싼 갈등이 불거지면서 또다시 협상이 멈춰섰다.

광주 완성차 공장이 들어설 광주 빛그린산단 토지이용 계획도. [연합뉴스]

광주 완성차 공장이 들어설 광주 빛그린산단 토지이용 계획도. [연합뉴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광주시와 현대차가 합작법인을 설립해 빛그린산단 내 62만8000㎡ 부지에 7000억원을 투입해 연간 10만 대 규모의 1000cc 미만 경형 SUV 공장을 세우는 프로젝트다. 근로자의 평균연봉을 낮춰 생산성을 올리는 대신 자치단체가 주거·육아 같은 생활기반과 복지 여건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공장이 지어지고 나면 1만∼1만20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광주형 일자리 타결이 임박하면서 어떤 차를, 얼마나 생산할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향후 광주 완성차 공장에서 생산될 차량은 기존 소형 SUV인 현대차 코나, 기아차 니로보다 차체가 작다는 게 특징이다. 해당 차량이 광주 완성차 공장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되려면 해당 차량의 수요가 예측 이상으로 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내년 1월부터 울산3공장에서도 연간 10만 대의 소형 SUV가 생산되기 때문이다.

광주광역시=최경호 기자 choi.kyeong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