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R&D투자 세계 1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삼성전자가 지난해 전 세계에서 연구개발(R&D)에 가장 큰 비용을 쓴 기업이 됐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18 산업 R&D 투자 스코어보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는 R&D에 134억3670만 유로(약 17조3000억원)를 썼다. 세계 46개국의 2500개 주요 업체 중 투자액이 가장 많았다. EU는 2004년부터 해당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2012년부터 5위권을 유지했다. 1위는 처음이다. 삼성전자의 전년 순위는 4위로, 투자액은 일 년 새 11.5% 늘었다.

작년 구글·MS·애플보다 많아 #매출 대비 R&D 비중은 7위 그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위는 미국 구글을 보유한 알파벳이다. 133억8780억 유로를 투자했다. 독일 폴크스바겐(131억3500만 유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122억7880만 유로), 중국 화웨이(113억3410만 유로)가 뒤를 이었다. 미국 인텔과 애플이 각각 6, 7위, 스위스 로슈, 미국 존슨 앤 존슨, 독일 다임러도 10위 안에 속했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신규 분야보다 반도체·모바일 등 주력 분야의 R&D에 집중했다. 지난해 11월 세계 최초로 64단 V낸드기반의 SSD와 2세대 10나노급 8Gb D램 양산에 성공했고, 이는 올해 역대 최대 반도체 경기 호황의 주춧돌이 됐다. 여기에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인 엑시노스9, 사물인터넷(IoT) 전용 엑시노스i 개발에 성공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된 상황이라 신규 분야 R&D에 나서기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며 “올해 이 부회장의 석방 후 인공지능(AI) R&D에 집중하고 있어 투자액이 더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자액 기준으로 1위를 차지했지만, 삼성전자는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에서는 상위 5위 안에 들지 못했다. 삼성전자의 매출 중 R&D 투자 비중은 7.2%로, 7위에 그쳤다. 매출의 20.9%를 R&D에 쓴 인텔이나 19.5%를 쓴 로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번 돈보다 R&D에 쓴 비용이 적다는 의미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