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감찰반원 근무시간 골프”…靑 “확인 안 된 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지난 2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청와대 인사 사칭 사기와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지난 2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청와대 인사 사칭 사기와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비위에 연루된 직원이 있는 것을 추가 확인한 뒤 특별감찰반 직원 전원을 교체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SBS 뉴스는 29일 특감반 직원들이 근무시간에 팀을 나눠 골프를 친 사실이 청와대 감찰 과정에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청와대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조국 민정수석이 반부패비서관실 산하 특감반 비위에 대한 최종 조사결과를 보고받았다”며 “이에 특감반장을 비롯한 반원 전원을 교체하고 비위행위가 있는 직원을 소속기관이 조사·징계할 것을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이를 수락했고 특감반원 전원은 이날 오후 6시부로 원 소속기관인 검찰·경찰·감사원 등으로 복귀 조치 됐다. 청와대로 파견된 사람의 복귀는 비서실장의 권한 사안이다.

앞서 지난 28일 청와대 특감반 소속 김모 수사관은 지난달 경찰청 특수수사과를 방문, 자신의 지인이 연루된 ‘공무원 뇌물 사건’에 대한 진척 상황을 물었으며, 청와대는 이에 대한 감찰조사를 벌인 결과 부적절한 행위로 판단해 검찰로 복귀조치를 했다.

조 수석은 이 사안에 대해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보고를 받고서 김 수사관 외에도 부적절한 처신과 비위 혐의가 있는 특감반 파견 직원을 즉각 소속기관으로 돌려보내고, 소속기관이 철저히 조사하고 징계할 것을 건의했다고 김 대변인은 전했다. 김 수사관 외에도 비위가 적발된 특감반 직원이 더 있다는 설명인 셈이다.

김 대변인은 “부정행위가 적발된 인원이 몇 명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며 “특감반원 규모에 대해서도 언급할 수 없다. 이제껏 특감반 숫자가 공개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이례적인 고강도 조치를 두고 ‘경찰 수사내용 사적 문의’ 외에 다른 비위가 적발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SBS 뉴스는 특감반 소속 또 다른 직원 A씨도 이 사건에 연루된 구체적 정황을 청와대가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특감반 직원들이 근무시간에 골프를 친 사실이 청와대 감찰을 통해 드러났다고 전했다. 특감반 전원 교체에는 이 골프 회동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직원들끼리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두 팀으로 골프를 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동안의 관행”이라 진술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다만 이에 대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주중 근무시간 골프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다. 오보다”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는 비위 행위자에 대해서는 관련 비위 사실을 해당 기관에 문서로 정식 통보할 것”이라며 “특감반원 전원은 오늘 오후 6시를 기점으로 원래 소속기관으로 복귀했다. 해당 기관장은 청와대로부터 비위 사실을 통보받는 대로 추가조사를 하고 징계를 내리게 된다”고 전했다.

한편 특감반장의 신원, 반원의 총 숫자 등은 업무 특성상 밝혀진 바 없지만 대략 15명 내외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전원 교체된 특감반은 민정수석실 산하 반부패비서관실 소속으로 정부 부처와 공기업 직원들을 감찰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민정비서관 산하에 특감반이 따로 있는데 이들은 대통령 친인척을 담당한다. 해당 직원들은 오후에 갑작스럽게 소속기관 복귀 명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감반 비위가 불거지면서 청와대의 공직기강 해이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청와대 경호처 직원이 술을 먹고 시민을 폭행한 사건이 있었으며 청와대 내 핵심 중의 핵심 참모인 김종천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음주운전을 하다 적발됐다.

이후 임종석 실장이 26일 청와대 전 직원에 이메일을 보내 “우리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가 국민에 폐가 되고 대통령에 누가 될 수 있다”며 “더 엄격한 자세로 일해야 한다”고 촉구했지만 28일에는 특감반 김 수사관의 비위행위가 밝혀져 비난이 커졌다.

그동안 알려진 비위에다 경찰 수사에 연루된 직원이 한 명 더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청와대 공직기강 해이에 대한 비난은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