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2차 도로회의’ 열었지만 성과 ‘제자리’…대북제재 등 걸림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8월 13일 북한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 '남북도로공동연구조사단 제1차회의'에서 남·북 대표단이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통일부]

지난 8월 13일 북한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 '남북도로공동연구조사단 제1차회의'에서 남·북 대표단이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통일부]

남북이 12일 ‘도로공동연구 조사단’ 제2차 회의를 열고 동해선과 경의선 도로 현지 공동조사의 대상 구간과 조사방식을 협의했다.

통일부는 이날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서 회의를 열고 이같이 협의했으며 추후 논의를 더 이어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남북은 지난 8월 13일부터 8월 20일까지 이뤄진 경의선 도로 개성~평양 구간 현지 공동조사 결과를 논의하고 향후 추가 검토하기로 했다.

남북은 동해선과 도로 현지 공동조사에 일정을 논의했지만 시기를 확정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조사를 위해서는 유류 등 물자를 군사분계선(MDL) 이북으로 반출해야 하는 점 등이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남북은 지난 8월 경의선 북측 철도 구간에 대한 현지 공동조사를 진행하고자 했지만, 유엔군사령부가 MDL 통과를 불허해 무산된 바 있다.

통일부는 “향후 일정은 문서교환 방식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의선 철도 현지 공동조사에 이어 동해선 도로 현지조사까지 지연되면서 다음 단계인 ‘착공식’ 연내 개최 전망이 한층 어두워졌다.

남북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경의선·동해선 도로와 철도를 연결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착공식을 올해 안에 갖기로 합의한 바 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