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실적' 미리 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기업의 분기 경영실적이 공식 발표 전에 유출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올 1분기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기록한 37개 종목의 평균 주가가 해당 기업들의 잠정 실적 발표(공정공시) 전에 크게 올랐다가 발표 후에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22일 금융정보 제공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들 '깜짝 실적' 기업들의 실적 발표 전 5거래일 주가는 3.88% 오른 반면 발표 후 5거래일엔 오히려 0.57%떨어졌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깜짝 실적'이나 거꾸로 '어닝 쇼크'가 예상되면 기업들이 미리 간접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이런 정보가 투자자에게 흘러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증권사 2곳 이상이 분기 실적 전망치를 제시한 156개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했으며, 영업이익이 증권사 평균 추정치보다 10% 이상 많은 경우를 '깜짝 실적'으로 분류했다. '깜짝 실적'을 기록한 37개 종목 가운데 발표 전 5거래일 동안 주가가 오른 곳은 28개, 내린 곳은 9개였다. 발표 뒤 5거래일 동안엔 20개 종목이 오르고 17개가 내렸다.

시장 추정치보다 10.27% 높은 27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지난달 25일 공시한 코오롱건설은 발표 전 5거래일 동안 15.09% 급등했으나 이후 5거래일 동안 2.44% 빠졌다. 추정치보다 12.06% 상회한 영업이익을 냈다고 이달 2일 공개한 계룡건설도 발표 전 16.58% 급등, 발표 후 7.56% 내렸다.

시가총액이 큰 종목도 예외는 아니었다. 삼성전자에 이어 시총 2위인 국민은행 역시 발표 전 5거래일 동안 9.14% 올랐으며 이후 5거래일엔 0.22% 떨어졌다. 금감원 최규윤 공시감독국장은 "1차 조사기관인 증권선물거래소에서 불공정 행위가 있었다고 통보해 오면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실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사실이 있었는지 또는 다른 요인때문이었는지 먼저 확인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혜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