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 다시 만나는데, 경협주 무덤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코앞으로 다가온 남북 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경제협력주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회담을 전후해 관련 종목 주가가 쉽게 상한가를 기록했던 이전의 열기는 찾아보기 어렵다.

수혜 대상 종목들 별 움직임 없어 #‘급등 후 급락’ 학습효과 때문인 듯

대표적 경협주인 현대건설 주가는 17일 전 거래일 대비 100원(0.15%) 오르는 데 그치면서 6만8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GS건설(0.19%), 쌍용양회(-1.05%), 아세아시멘트(-2.36%) 등 다른 건설·토목 업종 주가도 소폭 오르거나 오히려 하락했다. 건설주는 남북 경제 교류가 가능해지면 북한 사회기반시설(인프라) 공사가 활성화할 것이란 전망 때문에 그동안 대표적인 남북 경협 수혜주로 주목받아왔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의 주가 흐름도 비슷했다. 제이에스티나(0.38%), 좋은사람들(-0.67%), 신원(0.2%) 등 주가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대표적 철도 관련 종목인 현대로템의 상승 폭도 0.16%에 그쳤다. 그나마 대아티아이(3.71%), 푸른기술(7.57%) 등 철도 관련 코스닥 종목의 주가 상승 폭이 다른 남북 경협주에 비해 두드러지는 정도였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졌을까. 전문가들은 학습 효과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한다. 이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진행했지만, 기대보다 북한 비핵화, 남북 경협 협상 등에서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회담을 전후해 주가가 치솟았다가 다시 급락하는 걸 몇 번 경험한 투자자로선 남북 경협주 투자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미 많이 올랐다’는 시장의 평가가 주가에 반영됐다는 분석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2000억 달러(약 225조원) 규모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남북 정상회담이라는 호재를 갉아먹은 측면도 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남북 경협주 대부분이 미·중 무역 전쟁의 영향을 많이 받는 소재산업이라 이날 상승 폭이 제한된 것 같다”며 “이제 경협주는 비핵화나 남북 경협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진전되느냐에 따라 움직일 것으로 보이며 단순히 회담이 열린다는 것만으로 오르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