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밀반입 보도한 VOA 단톡방 퇴출"···靑 "억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와대 전경 [뉴스1]

청와대 전경 [뉴스1]

청와대가 미국 매체인 미국의 소리(VOA‧Voice of America) 방송 소속 기자에게 ‘청와대 외신 기자 단체 카톡방에서 나가달라’고 통보했다는 보도에 대해 반박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5일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VOA 소속 기자 2명은 현재 외신 단톡방에 변함없이 포함돼 있다”며 “단체 카톡방에서 나가달라고 했다는 한 국내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청와대가 미국 매체 VOA에 돌연 ‘단체 카톡방을 나가라’고 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청와대는 서울에서 활동 중인 VOA 기자 3명 중 한국계 기자 한 명을 지목, 외신기자 등록 운영 규칙상 ‘서울에 지국을 둔 상주 특파원’에 속하지 않으며 ‘불특정 다수’가 쓰는 공용폰으로 카톡방에 가입된 것 같다는 이유를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주변에서는 ‘VOA가 최근 북한산 석탄의 국내 밀반입 의혹, 판문점 선언 오역 논란’ 등 현 정부에 껄끄러운 보도를 한 것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이런 보도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심지어 (VOA)가 문제를 제기한 14일) 신임 VOA 지국장을 단체 카톡방에 새로 초대했다”며 “개별 기자의 폰이 아니라 사내에서 다수가 사용하는 공용폰이 등록된 사실을 알고 입장을 해당 기자에게 통보했다. 공용폰은 단톡방 가입이 안된다는 게 저희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은 억측보도에는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현재 청와대는 취재부문별 기자들의 단체 카톡방은 출입기자 개인 계정으로 등록을 제한하고 출입기자 초대 여부도 춘추관에서 일일이 확인하는 등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VOA의 경우처럼 공용 계정으로 단톡방에 들어가 있을시, 출입기자가 아닌 사람이 민감한 외교 안보 정보에 접촉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출입기자들은 청와대 출입을 시작하는 동시에 ‘민감한 정보와 관련된 비밀유지’를 서약한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