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무리한 집 구입 신중해라”…맞는 말일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왼쪽) 원내대표와 김태년 정책위의장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왼쪽) 원내대표와 김태년 정책위의장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지금 아니면 집을 못 산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무리해서라도 집을 구입하는 것에 신중해 줄 것을 국민에게 당부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당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내놨다.

김 의장은 13일 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 “최근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해 이유 불문하고 국민 여러분께 매우 송구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집 구매에 신중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이미 일부 언론은 과거 사례에 비춰서 부동산 가격이 단기 급등하게 되면 상당 기간 정체 현상을 빚을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미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된 상황이고 미국의 경우 금리를 지속해서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며 “당장은 아니더라도 대세적인 금리 인상에 직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여당에선 최근의 부동산 가격 급등 책임을 지난 정부에 돌리는 주장도 나왔다. 박영선 민주당 의원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투기 조장법’ 탓에 3년이 지난 지금 부동산 광풍 몰아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가 한국은행을 압박해 10개월 사이 인위적으로 금리가 내려갔다”며 “2014년 8월 금리 인하 후 지금까지 시중에 약 600조원의 돈이 더 풀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돈은 대부분 부동산으로 흘러갔다”며 “이것이 부동산 급등의 주범”이라고 말했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고위공무원의 강남 집 소유가 부동산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대한 질문에 “그분들이 (강남에) 거주하는 건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며 “사실 투기를 위해 (강남에) 거주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계속 강조하고 있지만, 부동산 투기로는 돈을 벌 수 없다는 것을 이번에 확실하게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