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모금액 백억만 내가 할당"|정주영씨 "5백억 목표·정수창씨 증언 부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 5공 특위(위원장 이기택·민주)의 일해 청문회가 14일 오전 속개, 지난번 끝내지 못한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에 대한 개별신문을 벌인데 이어 정씨와 장세동(전 청와대경호실장)·양정모(구 국제그룹회장)씨를 상대로 3자 대질신문을 벌였다. <관계기사 3면>
의원들은 정씨를 상대로1차 1백억 원 규모의 모금액 할당경위를 묻고 모금주도와 거액기부에 따른 현대그룹 특혜여부 등을 중점 추궁했다.
의원들은 현대그룹이 서울시교위로부터 구 서울고부지 2만9천 평을 수의계약으로 매입한 경위를 묻고 이 부지를 구의동 소재 5만평의 서울시 땅과 대토하는 과정에서 양도소득세·취득세혜택 등 특혜가 있었는지를 추궁했다.
지난번 청문회에서 장씨는 모금과정에서 강제성이 없다고 한 반면 정씨는 첫 번째 기부금 1백억 원을 제외하고는 강제성이 있었다고 했고, 양씨는 강제성이 분명했다고 증언한바 있다.
특위는 청문회에 앞서 전체회의를 열어 지난 10일의 청문회에 불참한 전두환씨에 대한 청문회를 22일 다시 열기로 결정했다.
정주영 증인은 이날 증언에서 자신이 초대발기인 및 이사로 선임되기 이전에 23억 원의 기금이 모아져 유족에게 전달됐다고 말하고 일해재단 설립도 역시 유족에게 위로금을 전달한 후에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정씨는 29개 업체선정과 1차 모금액인 1백37억 원의 할당결정은 자신과 정수창 당시 상의회장·최순달 이사 및 몇몇 부회장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증언하고 전두환씨가 일해재단 총재로 선임된 것이 이사회결정인지, 전씨 스스로가 결정해 된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정씨는 일해 자금과 관련, 『처음 1백억 원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돼 그보다 조금 많은 1백5억∼1백6억 원을 주도적으로 할당했다』고 말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자신이 할당한 것이 아니라고 말해 지난 8일 청문회에서 정의창 상공회의소회장이 처음부터 5백억 원 모금을 목표로 했다는 증언을 부인했다.
정씨는 『86년 1월 정기이사회에서 「장기예치금액을 찾아 쓰면 재단운영에 곤란하니 기금을 추가 모금하라」고 제의한 것으로 이사회 회의록에 기록됐는데 이것이 사실이냐』는 신문에 대해 『추가 기금모금을 찬성한 적이 없으며 그 같은 기록은 나의 발언을 거두절미해 일해 측이 유리하게 만들었다』고 이사회 회의록이 조작됐음을 주장했다.
정씨는 또 85년 8월 양정모 이사 사임과 관련, 이사들이 회의를 갖고 연명으로 도장을 찍은 데 대해 『회의를 가진 기억도 없으며 거기에 찍힌 도장은 내 것이 아니다』고 회의록이 가짜로 작성됐음을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