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연간 1000억 지원해 반도체 전공 교수·석박사 늘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난 8일 발표한 대규모 채용ㆍ투자계획에서 산학협력기금 연 10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했던 삼성전자가 이를 어디에 지원할지 구체적인 방안을 내놨다. 삼성전자는 14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서 박찬욱 서울대 총장 직무대리와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반도체 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오른쪽)와 박찬욱 서울대 총장 직무대리가 14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산학협력 협약식을 했다. [사진 삼성전자]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오른쪽)와 박찬욱 서울대 총장 직무대리가 14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산학협력 협약식을 했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이날 협약을 맺은 서울대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대학들과 산학 협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자 DS(반도체) 부문 내에 산학협력센터 조직을 신설했다.  이번에 확대되는 국내 산학협력 분야는 ▶물리ㆍ수학ㆍ화학 등 기초과학 연구 지원▶반도체 분야 교수 채용 촉진과 석ㆍ박사 장학금 확대 ▶반도체 분야 연구를 위한 첨단설비 인프라 무상 제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그간 한해 반도체 300억원, 디스플레이 100억원이던 산학협력 지원 규모를 매년 1000억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반도체는 한국이 현재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대학 내 반도체 관련 교수와 석ㆍ박사 진학 학생 수가 매년 줄어드는 등 우수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한 중국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반도체 굴기’를 내세워 무섭게 추격하면서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 연말쯤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3D 낸드 플래시 양산에 나설 예정이다. 업계에선 현재 한국과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부문 기술력 차이를 3~4년 정도로 본다.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겸 DS 부문장)는 협약식에서 “산학협력 확대로 국내 과학기술과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연구처장인 김성철 교수는 “연구를 위한 인프라 무상제공 등이 대학의 반도체 연구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될 거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국내 반도체 중소ㆍ중견기업에 투자하는 ‘반도체 성장펀드에 500억원을 출자하기도 했다. 최지영 기자 choi.ji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