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60% 최저 지지율 … 7주 연속 하락 추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얼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부터 8월 3일까지 닷새간의 여름 휴가를 마치고 6일 업무에 복귀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낙연 국무총리와 오찬을 겸한 주례회동에 이어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휴가 복귀 … 규제혁신 등 민생 주력 #자영업비서관 임명도 서두를 듯

공교롭게 한국갤럽이 문 대통령 휴가 기간 도중(지난달 31일~이달 2일) 전국 성인 1003명을 조사한 결과 국정수행 지지율은 취임 후 최저치인 60%를 기록했다. 6·13 지방선거 이후 7주 연속 하락 추세다.

문 대통령은 업무 복귀 후 우선적으로 경제 현안 해결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응답자들이 부정 평가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 역시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38%)이었다. 휴가 직전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밝힌 대로 이달 중 규제개혁 점검 회의를 직접 주재해 혁신성장에 가속도를 낼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5일 “지난달 의료기기 규제혁신 현장 방문과 같이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찾아가 산업별 규제 현안을 점검하고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직접 신설 방침을 밝힌 청와대 자영업비서관도 검증이 끝나는 대로 임명 발표하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소상공인·영세자영업자의 부담을 완화할 대책 마련도 서두를 방침이다.

문 대통령이 앞으로 중폭 이상의 개각을 통해 내각 분위기 쇄신에 나설지도 관심이다. 문 대통령은 여소야대 국면에서 집권 2년차 국정 운영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야권 인사를 입각시키는 협치 내각 카드를 공식화한 상태다.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규제혁신 5법이나 자영업자 대책 마련을 위한 민생 법안 등이 야권의 협조를 얻어야 국회 처리가 가능하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하반기 외교 일정의 경우 9월 유엔 정기 총회, 가을께 남북 정상회담 등이 예정돼 있다. 그러나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국면이어서 문 대통령이 중재자로서 역할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북·미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에 8월 정상회담 개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북·미 협상을 진척시키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은 꾸준히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 휴가 기간 도중인 지난 2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발표한 리비아 피랍 한국인과 관련한 논평이 감상적인 표현 등으로 인해 논란을 불렀다.

김 대변인은 피랍 사실을 알리며 “그를 납치한 무장단체에 대한 정보라면 사막의 침묵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다” “우리는 그가 타들어 가는 목마름을 몇 모금의 물로 축이는 모습을 보았다” 등 긴박한 상황과 어울리지 않는 문학적인 표현들을 사용했다. 여권 한 관계자는 “집권 2년차에 들어서면 사소한 실수라도 곧 대통령 지지율에 악재가 되곤 한다”며 “청와대가 디테일하게 상황을 챙기는 모습이 아쉽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