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 도축부터 판매까지 10분이면 추적"…정부, 블록체인 상용화 나서

중앙일보

입력

앞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소고기의 사육 환경부터 도축·포장·판매 환경을 10분이면 추적할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블록체인의 초기 시장 형성과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 전략’을 수립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6대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전문인력 1만명 양성에 나선다.

블록체인은 각종 거래 정보를 중앙 서버에 관리하지 않고 여러 곳으로 분산해 동시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일정 시간(설정하기 나름이지만 평균 10분)마다 거래 정보가 하나의 암호화된 블록으로 묶이고, 다시 블록과 블록이 결합해 체인이 형성된다. 거래 장부의 사본을 해당 거래에 참여한 여러 사람이 나눠서 보유하는 식이다. 그래서 위조가 어렵고 해킹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위조하려면 여러 사람이 나눠 가진 정보를 모두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블록체인 6대 시범 사업은 ▶소고기 이력 관리 ▶개인 통관 ▶부동산 거래 ▶온라인 투표 ▶국가간 전자문서 유통 ▶해운물류 분야에서 진행된다. 예컨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소고기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육부터 도축‧판매까지 전 단계를 추적하려면 현재는 최대 6일이 걸린다. 블록체인으로 단계별 정보를 공유하면 10분 이내로 추적 시간을 확 줄일 수 있다.

개인 통관 절차도 주문부터 선적‧배송‧통관까지 전 과정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실시간 수입 신고로 통관 시간 단축은 물론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석‧박사급 블록체인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도록 1곳에 불과한 블록체인 연구센터를 올해 3곳으로 확대하고 연간 8억원(최대 6년)을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고, 블록체인 공모전 등을 열어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지원을 통해 2022년까지 전문인력이 1만명,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블록체인 전문기업이 100곳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 양환정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블록체인은 인터넷‧스마트폰‧인공지능에 이어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기술이 될 것”이라며 “이번 블록체인 기술 발전 전략이 국내 산업 혁신과 디지털 신뢰 사외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