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北, 지난해 미국 사업가 통해 쿠슈너에 북·미회담 타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재러드 쿠슈너에게 북·미 정상회담 의향을 북한을 대신해 타진한 미국인 사업가 가브리엘 슐츠(왼쪽). 그의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포착했다. [뉴욕타임스 캡처]

재러드 쿠슈너에게 북·미 정상회담 의향을 북한을 대신해 타진한 미국인 사업가 가브리엘 슐츠(왼쪽). 그의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포착했다. [뉴욕타임스 캡처]

 지난해 북한이 한 미국인 사업가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에게 북·미 정상회담 의향을 타진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사업가의 이름은 가브리엘 슐츠. 현재 싱가포르에 거주 중인 그는 북·미 회담으로 이어진 양국 간 ‘막후 채널’에 관련된 인물이라고 NYT는 전했다.

 슐츠는 NYT와 인터뷰에서 “북한의 최고위급 관료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을 추진할 백 채널(back channel)을 찾았다”고 밝혔다.

 NYT에 따르면 슐츠는 지난해 쿠슈너 보좌관을 만나 북한 측의 대화 의향을 전달했다. 이에 쿠슈너 보좌관은 직접 북한과의 접촉에 나서는 대신 당시 중앙정보국(CIA) 국장이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고 한다.

 재러드 쿠슈너 미국 백악관 선임보좌관.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이자 이방카 트럼프 보좌관의 남편이다. [AP=연합뉴스]

재러드 쿠슈너 미국 백악관 선임보좌관.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이자 이방카 트럼프 보좌관의 남편이다. [AP=연합뉴스]

 광산 사업으로 부를 쌓은 가문 출신인 슐츠는 사업 목적으로 북한을 수 차례 방문했고, 과거 아시아 내 사업 기회를 모색하던 트럼프 일가와도 교류한 경험이 있다고 NYT는 전했다. 북·미 양측과 접촉해왔다는 점에서 북한이 미국에 막후 접촉을 시도해줄 인물로 슐츠를 점찍었다는 것이 NYT의 설명이다.

 NYT는 “‘가족 왕조(Family dynasty)’에 지배되는 북한인들에게 쿠슈너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소통이 가능한 인물로 보였을 것이다. 그래서 유망한 접촉 대상으로 비춰졌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NYT는 북미 간 협상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해 “(슐츠를 통한) 초기 접촉은 싱가포르로 이어지는 (막후) 외교에 동력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NYT는 “다른 이들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문재인 한국 대통령을 꼽았다.

 한편 백악관과 CIA는 쿠슈너 보좌관와 슐츠의 접촉 여부에 대한 NYT의 확인 요청을 거부했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