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 비핵화 전문 볼턴 투입 … 북 ‘음악 정치’ 담당 현송월도 대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11일 미국-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참석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가운데). [로이터=연합뉴스]

11일 미국-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참석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가운데). [로이터=연합뉴스]

12일 북·미 정상회담에 배석하는 양국 인사들의 면면은 회담을 읽는 열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확대 정상회담에 함께 자리하는 인사들이 누구인지에 따라 회담 기류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 수행원, 므누신·매티스 빠진 건 #대북제재·주한미군 협상 없단 뜻 #북 이용호·노광철 당·정·군 포진

백악관은 11일(현지시간) 북·미 정상회담이 12일 오전 9시(한국시간 오전 10시)에 개최된다고 밝혔다. 정상회담은 통역사들만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단독 회담과 확대 정상회담, 업무오찬 순으로 이어진다. 확대 정상회담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배석한다.

이어 업무오찬에는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 성 김 주필리핀 미국대사, 매슈 포틴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이 참석한다.

관련기사

관건은 확대 정상회담에 배석하는 볼턴 보좌관이다. 그는 북핵을 ‘리비아식 해법’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해 북한의 강한 반발을 샀다. 이 때문에 볼턴은 지난 1일 북한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예방했을 때 건물 창문을 통해 바라보기만 해야 했을 정도로 밀려나기도 했다. 정상회담 배제설까지 제기됐지만 우여곡절 끝에 싱가포르행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외교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북핵 문제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이 볼턴”이라며 “이번 회담에서 비핵화에 성과를 내려면 볼턴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볼턴이 확대 정상회담에 배석하는 것을 두고 북한에 대한 압박카드란 분석이 나온다. 회담이 잘 안 풀릴 경우 공격수인 그가 북측을 상대할 ‘비밀 병기’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볼턴 보좌관은 과거에 “북한에 대한 선제 폭격은 법적,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글을 쓴 적도 있다.

이번에 싱가포르에 오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정상회담 전략이 드러나는 경우도 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정상회담 수행원 명단에 이름이 오르지 않았다. 재무부는 미국의 대북 독자 제재를 주도하는 부서인 만큼 므누신 장관이 온다면 정상회담 때 대북제재까지 논의된다는 신호였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한이 실제 비핵화 조치를 이행해야만 제재를 해제할 수 있다는 일관된 메시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매티스 장관이 빠진 이유를 놓곤 주한미군을 이번 협상 의제로 올리지 않으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국방·재무 장관까지 대동하는 것은 북한의 위상을 지나치게 높여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김영철·이수용 당 부위원장과 김여정 당 제1부부장, 이용호 외무상, 노광철 인민무력상, 최선희 외무성 부상, 김성혜 통일전선부 과장 등이 싱가포르에서 김정은을 수행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의 친서를 전달했던 김영철 부위원장(통일전선부장)은 확대 정상회담 배석자로 확실시된다. 대미 라인인 이용호 외무상과 최선희 부상의 ‘동시 출격’은 북한이 이번 회담에 올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광철 인민무력상은 회담에서 북·미 관계 개선에 따른 군사 분야의 요구 사항을 꺼내기 위한 포석일 가능성이 있다.

북한 대표단 중 뜻밖의 인사는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다. 지난 10일 오후 김 위원장과 북한대표단의 숙소인 세인트레지스 호텔에 짙은 선글라스과 검은색 치마 정장 차림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포착됐다. 현송월은 ‘음악 정치’의 현장 책임자다. 외교 라인은 아니다. 그럼에도 현송월이 나타나자 북·미 정상회담이 잘될 경우 삼지연관현악단의 미국 공연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싱가포르=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특별취재팀

김현기·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예영준·신경진 베이징 특파원, 정용수·이철재·전수진·유지혜·박유미·윤성민 기자, 강민석 논설위원, 김민석 군사안보연구소장, 오영환 군사안보연구소 부소장, 이영종 통일문화연구소장, 정영교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원, 박용한 군사안보연구소 연구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