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한미간 긴밀 소통 중…김정은 친서, 우리가 언급할 사안 아냐”

중앙일보

입력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다. [사진 댄 스카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국장 트위터]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다. [사진 댄 스카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국장 트위터]

청와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친서와 구두 메시지를 통해 “정상회담이 여러 차례 이뤄지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보도에 대해 말을 아꼈다.

4일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한미 간 긴밀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으나, 북미 정상 간 비공개 친서 내용은 우리 정부가 언급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앞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은 최근 방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만찬 및 회담을 가진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90분가량 면담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일부 언론이 워싱턴과 싱가포르의 고위 소식통을 인용 ‘돌발 변수가 없는 한 싱가포르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질 것’이라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 “싱가포르 북미회담 합류를 위해 우리 정부가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한 상태는 아니다”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다만 “북미 간 의제 등 회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비공개로 진행된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낙태’와 ‘비혼’ 등을 직접 언급했다는 보도에 대해 “비혼 출산정책에 대해 논의했다”고만 확인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가계소득동향점검 회의에서 소득분배 문제 해결을 위해 재정 지원을 검토하라고 발언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확인해 보겠다”고 언급했다.

이밖에 통상 월요일 오후에 열렸던 수석·보좌관 회의가 이날 열리지 않는 것과 관련해서 이 관계자는 “한-필리핀 정상회담 일정으로 생략한다”고 설명했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전날(3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공식 방한했으며,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양 정상 간 회담은 이번이 두 번째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