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반도체 업종 1000원어치 팔아 130원 남겨…문제는 올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반도체를 중심으로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이 늘면서 지난해 국내 기업의 매출액 증가 폭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익성도 개선되며 기업 부채 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도 떨어졌다.

한은, 작년 국내 기업 실적 분석 #덩치 커지고 수익성ㆍ체질 개선 #1000원어치 팔아 74원 남기고 #부채 비율도 92.3%로 낮아져 # #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7년 기업경영분석(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의 매출액은 전년보다 9.9% 증가했다. 해당 통계를 낸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2017년 말 기준 외부감사대상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2만3145곳이다.

주요 성장성 지표. 자료: 한국은행

주요 성장성 지표. 자료: 한국은행

 국내 기업은 덩치를 키웠다. 매출액 증가세를 이끈 건 제조업에서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기계ㆍ전기전자(18.6%), 석유화학(14.5%) 업종과 비제조업 부문에서는 건설(11.7%), 도소매업(10.1%)이었다.

 지난해는 자동차 수출 부진에 시달렸던 운송장비(-5.1%)를 제외한 전 업종에서 매출액이 늘어났다.

반도체2

반도체2

 한국은행은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이 전년보다 57.4% 급증한데다 유가상승으로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 단가가 오르면서 이들 기업의 매출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장사도 잘했다. 지난해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전년대비)은 7.4%를 기록했다. 1000원어치를 팔아 74원을 남긴 셈이다.

주요 수익성 지표. 자료: 한국은행

주요 수익성 지표. 자료: 한국은행

 이는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제조업은 8.4%, 비제조업은 5.9%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가장 짭짤한 수익을 올린 곳은 반도체가 이끄는 기계ㆍ전기전자로 1000원어치를 팔아 130원을 남겼다.

 문제는 지나친 반도체 쏠림 현상이다. 전체 산업 매출액 증가율(9.9%) 중 반도체가 포함된 기계ㆍ전기전자의 기여도는 3.3%포인트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업의 영업이익 중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 산업에서 25.5%, 제조업에서는 39.4%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반도체 업종은 경기 사이클이 분명한 탓에 업황이 좋지 않았던 2015년과 2016년의 기저효과를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매출과 수익이 늘면서 기업의 체질은 튼튼해졌다. 지난해 기업 부채비율(전년 대비)은 92.3%로 전년(98.2%)도 보다 개선됐다. 제조업(69.6→65.7%)과 비제조업(144.6→135.4%)의 부채비율이 모두 낮아졌다.

주요 안정성 지표. 자료: 한국은행

주요 안정성 지표. 자료: 한국은행

 다만 제조업에서는 반도체 관련 설비 투자가 늘어난 기계ㆍ전기전자(56.9→57.6%)의 부채 비율이 높아졌다.  비제조업에서는 사드 여파에 따른 중국관광객 감소로 영업이익이 줄어든 음식숙박업(118.8→130.5%)의 부채 비율이 올랐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