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문가 팩트체크 … “풍계리 갱도 입구만 폭파했을 가능성”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85호 07면

북한 핵무기연구소는 24일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후 “핵시험 중지를 투명성 있게 담보하기 위해 공화국 북부 핵시험장을 완전히 폐기하는 의식을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또 “투명성이 철저히 보장된 핵 실험장 폐기를 통해, 평화애호적 노력이 다시 한번 확증됐다”는 말도 했다.

북한 3, 4번 갱도 복원할 수도 #이번 폭파로 증거 사라지지 않아 #“비핵화로 가는 첫걸음 의미”

당시 현장엔 전문가들이 없었다. 북한은 ‘전문가 없는 폭파 행사는 쇼(show)’라는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풍계리에 취재진만 초대했다. 현재로선 폭파 현장을 참관한 남측 취재진이 25일 보낸 5분 29초 길이의 영상을 보고 판단해야하는 실정이다. 여기엔 2·4·3번 갱도를 차례대로 폭파하는 모습과 강경호 북한 핵무기연구소 부소장이 폭파 과정을 설명하는 모습 등이 담겼다.

이를 본 전문가들은 “영상만으로는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영상에서 기껏 확인할 수 있는 건 폭음과 폭발할 때 나는 불빛 정도인데 폭음은 소리가 맑지 않고 영상이 끊어져 있어 확인이 힘들고 폭염도 낮에 폭파를 하다 보니 색깔이 보이지 않는다”며 “(폭파가 잘 됐는지)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게 영상엔 없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사실 전문가가 폭파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눈으로 보지 않는 이상 어떻게 폭파했는지 알긴 어렵다”고 말했다.

하지만 핵 전문가들은 대체로 “갱도 입구만 폭파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북한 핵무기연구소 관계자들이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를 위한 폭파작업을 했다. 4번 갱도 내부모습과 폭파 후 연속 사진. 4번 갱도는 핵실험을 하지 않은 갱도로 가장 큰 규모의 핵실험을 위해 건설했다. 북한은 이날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3개와 지휘소 시설 등을 폭파했다. [연합뉴스]

북한 핵무기연구소 관계자들이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를 위한 폭파작업을 했다. 4번 갱도 내부모습과 폭파 후 연속 사진. 4번 갱도는 핵실험을 하지 않은 갱도로 가장 큰 규모의 핵실험을 위해 건설했다. 북한은 이날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3개와 지휘소 시설 등을 폭파했다. [연합뉴스]

①갱도 어디까지 파괴됐나=영상에는 수백m 떨어진 곳에서 찍은 갱도 입구 폭파 장면만 담겼다. 안진수 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책임연구원은 “이번엔 갱도 입구와 부대시설을 폭파했다는 정도지 갱도 안쪽을 폭파할 방법은 사실 없다”고 말했다. 그는 “6차 핵실험의 경우 위력이 60㏏이 넘었는데 2번 갱도는 이 정도도 버텼다. 이 정도의 규모면 트리니트로톨루엔(TNT)이 5만t 정도 필요한데, 그런 규모의 TNT를 북한이 이번에 썼을 리 없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현장에서 “갱도 내부 여러 지점에서 폭파시켰다”고 주장했다.

②복원 가능성 있나=갱도 안쪽이 폭파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더라도 복원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서범경 한국원자력연구원 해체기술연구부장은 “갱도 내에 공동(空洞)이 있으면 복원할 수는 있지만, 굳이 새로 갱도를 뚫어도 되는데 복원하는 게 큰 의미가 있나 싶다”면서도 “향후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를 지금 판단하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2번 갱도의 경우 이미 쓸 만큼 썼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갱도는 들어가면서 조금씩 위로 올라가는 구조인데 2번 갱도는 (과거 핵실험 때) 여러 번 사용하면서 더 이상 쓸 공간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3, 4번 갱도에 대해선 판단이 엇갈렸다. 이춘근 선임연구원은 “핵무기를 미사일에 탑재할 기술과 수소탄 개발에는 성공했기 때문에 이 정도에 만족한다면 더 이상 실험은 필요 없다”면서도 “특수 목적 핵무기는 아직 완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핵 지뢰와 같은 전술핵과 다탄두 소형화탄 개발을 위해선 더 많은 실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3,4번 갱도의 효용성은 여전하다는 의미다. 서균렬 교수는 “붕괴된 갱도를 복구하는 방법이 새로운 갱도를 파는 것보다는 쉽다”며 “북한이 다시 쓰겠다고 결심만 하면 노동자 500명을 동시에 투입해 3, 4번 갱도를 복구하면 1달 만에 다시 실험장으로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의지에 따라서 3, 4번 갱도는 얼마든 복원할 수 있다는 취지다.

③과거 핵실험 증거는 사라졌나=북한은 이번 핵 실험장 폭파를 통해 과거 핵실험 증거를 묻으려 했다. 합동참모본부 군사전략과에서 북한핵을 담당했던 신재곤 박사는 “1990년대부터 협상에 나선 김계관은 핵공학 기술도 잘 알고 있다”며 “북한 핵개발 흔적이 남은 시료를 채취하지 못하도록 김계관이 이번 폭파 행사를 주도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렇지만 핵 실험 증거가 사라진 건 아니라고 했다. 서균렬 교수는 “갱도 입구가 막혀 어렵지만 시료채취는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춘근 선임연구원은 “선진국은 보통 위에서 아래로 뚫고 들어가 검증한다”며 “핵실험 직후엔 1억 도 가까이 온도가 올라가 어렵지만, 지난해 9월 이후 몇 달 정도 시간이 지났으니 지금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황용수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는 “(무너진 갱도에) 샛길 터널을 파서 검증을 할 수도 있고, 시간이 오래 걸리겠지만, 시추를 통해 시료 채취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④북한에 비핵화 의지가 있다고 봐야하나=전문가들은 이번 폭파가 “비핵화로 가는 첫걸음 정도”라며 “의미를 과장도 축소도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안진수 전 책임연구원은 “핵무기를 없애는 게 핵심이지 핵 실험장 폐기는 그리 중요한 게 아니다”라며 “이번 폭파 행사는 북한이 ‘우리가 핵을 폐기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정도이며, 이를 통해 ‘미국과 얘기를 앞으로 해보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황용수 박사도 “북한이 나름대로 비핵화 의지를 표명했다는 정도지 큰 의미를 둘 순 없다”고 말했다.

윤성민·유지혜 기자
박용한 군사안보연구소 연구위원 yoon.sungmi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