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김정은 위원장 일본과 대화 용의 있어” 북일관계 정상화 언급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헌법 기관장 초청 오찬에서 남북회담 결과와 이행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헌법 기관장 초청 오찬에서 남북회담 결과와 이행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일관계 정상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8일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과 일본의 대화가 재개돼야 한다”며 “북일관계가 정상화하면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일관계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과거 문제 청산에 기반을 둔 북일 국교 정상화를 추진할 의사가 있음을 김 위원장에게 전달했고, 김 위원장도 언제든 일본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은 물론 한반도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앞으로의 여정에서 일본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을 기대한다”고 당부하며 “일본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한 한·미·일 공조,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을 위한 북일관계 정상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렇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일본인 납치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겠다고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일본 정부와 국민에게 얼마나 중요한 사안인지 잘 알고 있다.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에서도 다시 한 번 직접 얘기했다”며 “납치피해자 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일본 정부와 함께 계속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일관계에 대해서는 ‘투트랙’ 접근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불행한 역사로 고통받고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은 피해자분들의 용서와 화해가 필요하다”며 “마음에서 우러나온 진정성 있는 반성과 사죄가 피해자들에게 전달되고 수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저는 양국이 과거사 문제를 지혜롭게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 나가는 한편, 역사문제와 분리해 양국 간 미래지향적 협력을 추진해 나가자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 왔다”고 밝혔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