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에른 뮌헨 같은 구단 꿈꿨는데..." 끝내 펴지 못한 황선홍의 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황선홍 FC서울 감독. 2016년 부임해 큰 도약을 꿈꿨지만 끝내 꿈을 이루지 못했다. 구리=장진영 기자

황선홍 FC서울 감독. 2016년 부임해 큰 도약을 꿈꿨지만 끝내 꿈을 이루지 못했다. 구리=장진영 기자

 "FC서울을 바이에른 뮌헨(독일) 같은 전통의 명문 구단으로 만들고 싶다. 한국의 어린 축구선수들이 FC서울의 홈구장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뛰고 싶다는 꿈을 꾸게 해주고 싶다. 그게 내 궁극적인 목표다."

지난 2016년 12월, 중앙일보와 만났던 황선홍(50) FC서울 감독은 프로축구 K리그 클래식(현 K리그1) 우승을 차지한 뒤에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이렇게 밝혔다. 당시 전북 현대의 승점 삭감에 따른 이익을 얻긴 했지만 시즌 도중 팀을 맡아 서울의 우승을 이끌었던 그는 "우승은 어제 내린 눈과 같다. 팬들은 더 많은 걸 요구한다. 그에 대한 책임감이 무겁다"고 이를 악물었다.

지난달 11일 열린 K리그1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전반 실점하자 아쉬워하는 황선홍 FC서울 감독. [일간스포츠]

지난달 11일 열린 K리그1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전반 실점하자 아쉬워하는 황선홍 FC서울 감독. [일간스포츠]

그러나 1년 4개월이 지나 황 감독은 더 큰 날개를 펼치지 못하고 중도 하차했다. FC서울은 30일 "최근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29일에 구단에 사의를 밝혀왔다. 이에 서울은 고심 끝에 황선홍 감독의 뜻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개막 후 10경기에서 2승4무4패(승점 10)로 12개 팀 중 9위에 머물러 서울 팬들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아왔던 황 감독은 무거운 책임감을 이겨내지 못하고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현역 시절, 대형 스트라이커로 이름을 날렸던 황 감독은 2008년 부산 아이파크에서 지휘봉을 잡은 뒤에 2011년 선수 시절 화려하게 보냈던 '친정팀' 포항 스틸러스 사령탑에 오르고 승승장구했다. 특히 짧은 패스를 통해 볼 점유율을 높이는 '스틸타카(짧은 패스를 주고 받는다는 의미의 스페인어 '티키타카'와 '포항 스틸러스'의 합성어)'를 완성하고 K리그1 우승 1회, FA컵 우승 2회를 이끌고 축구팬들의 주목을 받았다.

황 감독이 2016년 6월 중국 장쑤의 제안을 받아 팀을 옮긴 최용수 감독의 후임으로 서울 감독이 됐을 때 팬들의 시선은 '기대 반, 걱정 반'이었다. 최근 K리그에서 떠오르는 지도자임에는 분명하지만, 기존에 맡았던 팀과는 또다른 색깔의 서울에서 포항 감독 시절처럼 성과를 낼 수 있을 지에 대한 문제였다. 무엇보다 서울을 이끌어왔던 최 감독과 늘 '비교 대상'이 돼야만 했다. 여러가지 부담에도 황 감독은 모험을 선택했다. 유로2016을 현장에서 관전하다 서울의 제안을 받았던 황 감독은 당시 "처음엔 서울의 제안에 고사했다. 그러나 고민해보니 새로운 동기부여가 축구인생에서 필요했다. 도전해볼 만 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1년 정도 쉬려했던 계획이 당겨졌다. 그래도 6개월 가량 쉰 기간이 내겐 열정적으로 다시 일할 수 있는 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2016 시즌 프로축구 K리그1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선수, 코칭스태프와 함께 활짝 웃는 황선홍 FC서울 감독(가운데). [중앙포토]

2016 시즌 프로축구 K리그1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선수, 코칭스태프와 함께 활짝 웃는 황선홍 FC서울 감독(가운데). [중앙포토]

부임 첫 시즌에 K리그1 우승과 FA컵 준우승으로 끝내면서 황 감독은 서울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러나 자신의 지도력과 색깔을 녹인 2017시즌엔 삐걱댔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2승4패로 탈락했고, K리그1은 5위로 마쳐 2011년(5위) 이후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2018시즌엔 개막 전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대대적인 리빌딩에 공격수 데얀이 서울에서 수원으로 팀을 옮기면서 서울 팬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여기에 오스마르, 윤일록, 김치우 등도 이적했다.

황 감독은 포항 시절 애제자였던 신광훈, 신진호와 함께 새로 영입한 외국인 선수 안델손, 에반드로를 앞세워 반전을 꾀했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 결과뿐 아니라 내용에서도 '서울 특유의 색깔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면서 비난이 쏟아졌고, 급기야 서울 팬들로부터 '황새(황선홍 감독의 별칭) 아웃(OUT)!'이라는 구호도 나왔다.

FC서울 공격수 박주영이 지난달 자신의 SNS에 올린 글. ‘2년 동안 아무것도 나아진 것 없는 FC서울이 미안하고 죄송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올려 2년 전 서울 감독으로 부임한 황선홍 감독을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쏟아졌다. 이틀 후엔 ‘저는 오늘 팀을 부정적으로 만드는 팀에 피해를 끼치는 선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올바른 방향으로 할 말을 하지 못하는 그런 선수는 되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써 의혹을 더 키웠다. [박주영 인스타그램]

FC서울 공격수 박주영이 지난달 자신의 SNS에 올린 글. ‘2년 동안 아무것도 나아진 것 없는 FC서울이 미안하고 죄송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올려 2년 전 서울 감독으로 부임한 황선홍 감독을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쏟아졌다. 이틀 후엔 ‘저는 오늘 팀을 부정적으로 만드는 팀에 피해를 끼치는 선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올바른 방향으로 할 말을 하지 못하는 그런 선수는 되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써 의혹을 더 키웠다. [박주영 인스타그램]

여기에다 최근엔 선수와의 불화설까지 나돌았다. 팀 간판 공격수 박주영이 자신의 SNS를 통해 "2년 동안 나아진 게 없다"며 황 감독을 저격하는 듯한 글을 남겼다. 황 감독은 "개인적인 의견을 내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팬들과 소통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 다만 메시지가 힘이 됐으면 한다.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지만 "그에 대해 박주영을 따로 불러 이야기하진 않았다"고 말했다.

안팎으로 어수선했던 상황에서 황 감독은 지난 28일 상주 상무와의 홈 경기를 0-0으로 마치곤 다음날 구단에 사의를 밝혔다. 서울 측은 "감독의 사임 의사를 만류했지만 사임 뜻이 강했다"고 말했다. 현역 시절부터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 자신의 주어진 책무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이 누구보다 강한 황 감독에겐 견디기 힘든 순간들었다. 중압감을 이겨내지 못한 '황새'의 더 큰 날갯짓은 결국 끝내 보지 못했다.

황선홍 FC서울 감독. [일간스포츠]

황선홍 FC서울 감독. [일간스포츠]

김지한 기자 kim.ji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