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선언이후|인적교류가 통일정책 최우선 과제|「노대통령특별선언」어떻게 보나…본사서 전화인터뷰|북의 반응엔 64%가 회의적|"알맹이 없어 미흡"…4.6%뿐|49%는 북의 대응에 관계없이 후속조치 기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들은 노태우대통령의 7·7특별선언내용중 이산가족상호방문등 인도적인 차원의 조치가 대결외교 지양등의 정치·외교적 조치에 앞서 우선 시행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부설여론조사기관인 중앙SVP를 통해 전국유권자 8백명을 대상으로 전화인터뷰한 결과 노대통령이 제시한 6개항목중 정부가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할 우선순위는 ▲이산가족상호방문 ▲각계간의교류 ▲직접교역등 인도적 차원의 조치를 내용으로 하는 항목에 응답이 높았던 반면, ▲우방의대북한교역 불반대 ▲대결외교지양 ▲우방과 북한과의 관계개선협조등 외교적인 조치들에 대한 지지는 비교적 낮았다.
지난달 여론조사에서는 (중앙일보6월6일자 참조)통일문제에 대한 시각에 있어서 세대간의 격차가 뚜렷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번 선언에 대해서는 연령에 관계없이 대부분 만족스립게 생각하고 있어 이번선언으로 통일에 대한 국논이 어느정도 모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7·7선언에 대해 매우 또는 대체로 만족스럽다는 사람을 합해 ▲20대 69.7% ▲30대69.5% ▲40대 78.7% ▲50대 85.6%로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의 수준이 좀더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자 (80.5%) 가 여자 (68.4%) 보다 더 만족도가 높았다.
통일정책외 우선순위에 대한 연령별 응답을 보면 ▲각계간의상호교류(20대 44.9%, 30대40.1%, 40대 37.7%, 50대이상 35.8%)와 ▲남북간 대결외교지양 (20대 24.9%, 30대 21.1%, 40대 11.7%, 50대이상 14.6%)항목에 대해서는 젊은층일수록 응답률이 높았다.
이는 최근 학생들의 남북대학생 교류와 남북간 대결지양을 주장해온 점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우선순위에 대한 지역별 응답을 보면 이북5도출신이 많이 살고 있는 인천의 경우 이산가족의 상호방문및 생사확인이 시급하다는 응답이 72%로 전체평균 50.3%보다 무려 20%나 높아 인도적 교류가 이산가족들의 절실한 요구임이 재확인됐다.
이 선언에 대한 북한측 반응을 예측하는 항목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것」이라는 사람은 30대에 많고 40대에 적었으며 (30대 36.2%, 40대 27.7%) 「모호한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사람은 20대(43%)에서 월등히 많고 50대(18.1%) 에서 적었다.
특별선언뒤 정부가 어떤 후속조치를 취해야 할 것인가에대한 문항에서 「북한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 보다 전진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조건부 적극론이 젊을수록 높았으며 (20대 40.9%, 30대 33.3%, 40대 28.8%, 50대이상 26.1%)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이든 계속 전진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무조건적극론은 40대(54%)가 다소높은 응답을 보였다. <문창극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