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가 행복해지는 '드림 리스트' 만드는 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더,오래] 신성진의 돈의 심리학(12)

공부를 열심히 하는 두 친구, 재인과 정은이가 있다. 재인이는 이번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어 부모님께 칭찬받고 기쁨을 드리고 싶어 공부하고, 정은이는 부모님께 꾸중을 듣지 않으려고 공부한다. 이 두 친구는 모두 열심히 공부했고, 좋은 성적을 얻었다. 이 두 친구는 다 행복할까?

가만히 살펴보면 동기가 달랐던 만큼 결과에 대한 반응도 다르다. 재인이는 좋은 성적을 얻어 부모님께 칭찬을 받고 부모님을 기쁘게 해 드려 무척 기쁘고 즐겁다. 하지만 정은이는 조금 다르다. 부모님께 꾸중을 듣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심’하게 된다. 어릴 적 공부를 열심히 했을 당신은 이 두 친구 누구와 비슷한가?

지혜의 심리학. 김경일 지음.

지혜의 심리학. 김경일 지음.

 ·
우리가 무언가를 할 때 반드시 동기가 있다. 아주대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는 그의 책 『지혜의 심리학』에서 동기를 ‘접근동기’와 ‘회피동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접근동기는 재인이처럼 무언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이루고 싶은 목적에 접근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회피동기는 두렵고 어렵고 불편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벗어나기 위해 무언가를 할 때의 동기다. 두 가지 동기 중 어떤 것이 좋고, 어떤 것이 나쁜 것이 아니다. 무언가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있고, 무언가를 막고 방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있다.

안전하려면 회피동기, 행복하려면 접근동기  

어릴 때 부터 부모들로부터 듣는 ‘공부 못하면 평생 힘들게 살아!’, ‘좋은 대학 못 가면 인생 낙오자가 된다’, ‘대기업 취직 못 하면 결혼도 못 한다’ 등의 말들은 자녀들의 회피동기를 자극해왔다. [사진 연합뉴스]

어릴 때 부터 부모들로부터 듣는 ‘공부 못하면 평생 힘들게 살아!’, ‘좋은 대학 못 가면 인생 낙오자가 된다’, ‘대기업 취직 못 하면 결혼도 못 한다’ 등의 말들은 자녀들의 회피동기를 자극해왔다. [사진 연합뉴스]

우리 사회는 주로 회피동기를 자극해 왔다. 어릴 때 우리는 이런 얘기를 부모들로부터 많이 들었고 지금은 자녀들에게 쏟아붓는다. ‘공부 못하면 평생 힘들게 살아!’, ‘좋은 대학 못 가면 인생 낙오자가 된다’, ‘대기업 취직 못 하면 결혼도 못 한다’, ‘밥 안 먹으면 키 안 커!’

이런 말은 회피동기를 자극하는 말이다. 이런 말을 듣고 열심히 공부하고 밥 잘 먹어 키가 컸다. 그래서 인생 낙오자가 되지 않아서, 대기업에 취직해서, 키가 커서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안심’이 된다. 두렵고 어렵고 피하고 싶은 상황을 벗어날 수 있지만, 행복과 기쁨을 누리기는 힘들다.

회피동기에 의해 움직이는 개인, 사회는 안전할 수 있지만 행복하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보다 가난하고 위험하고 불편한 사회보다 행복도가 낮다. 지금 당장 회피해야 할 일, 사고를 예방해야 할 일이 아니면 접근 동기를 활용해야 행복할 수 있다. 무언가 하고 싶은 것이 있고, 그것을 얻기 위해 노력해서 얻었을 때 행복과 기쁨이 있다.

우리 마음속에 있는 접근 동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이 ‘꿈의 목록(드림 리스트)’다. 꿈의 목록을 시간과 숫자로 구체화해 표현한 것이 바로 목표다. 원하는 것을 구체적이고 뚜렷한 목표로 표현할 때 접근 동기가 발동하고, 그것을 이루었을 때 우리는 행복할 수 있다.

행복한 돈 관리 위해 꿈의 목록 만들어야 

아끼고 아껴서 가족 여행 경비를 저축한 두 가장, 길동과 몽룡이 있다. 길동은 오랫동안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 일본 여행을 꿈꿔왔다. 커피를 좋아하는 아내와 함께 가고 싶은 일본의 커피 전문점 목록을 만들어 놓았고, 아이들과 함께 디즈니랜드에 가서 같이 타고 싶은 놀이기구를 정해 놓았다. 이번 여름은 아이들과 함께 첫 해외여행을 하는 행복하고 즐거운 계절이 될 것이다.

몽룡도 올여름에는 일본 여행을 갈 것이다. 하지만 몽룡은 그리 즐겁거나 행복하지 않다. 그는 더는 해외여행도 한번 못 다녀왔다는 가족들의 비난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좋다. 이번 여름에 모아 둔 돈을 찾아 아내에게 주면 알아서 하겠지. 별로 가고 싶지 않지만, 아내와 아이들의 등쌀에 한번은 다녀와야 한다. ‘어차피 한번은 해야 할 일이니 즐거운 마음으로 다녀와야지’라고 생각한다.

일본 여행을 가기 위해 돈을 아껴야 한다는 것, 모은 돈을 쓰는 모습은 같지만 두 사람이 느끼는 감정은 아주 다르다. 나 자신도 그렇고, 우리 주위를 살펴보면 몽룡 같은 사람이 많다. 재산도 있고 소득도 높지만 행복하지 않다.

꿈을 구체화한 목표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게 하려면 세 단계가 필요하다. [사진 pixabay]

꿈을 구체화한 목표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게 하려면 세 단계가 필요하다. [사진 pixabay]

즐겁고 행복한 삶, 즐겁고 행복한 돈 관리를 위해 우리는 꿈의 목록이 필요하고 가능하면 꿈의 목록을 목표로 구체화해야 한다. 명확한 돈의 목표를 수립해 보자. 꿈을 구체화한 목표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게 하려면 세 단계가 필요하다.

첫째, 꿈의 목록을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어떤 이는 죽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는 뜻으로 ‘버킷 리스트’를 작성한다. 어떤 이는 라이프 사이클을 그려보고 구체적인 재무목표를 하나씩 작성하고 그것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도 한다.

어떤 방법을 써도 좋지만, 이것 하나는 분명히 기억하자. 우리가 살아가는 데 돈이 필요한 이유는 필요한 것을 준비하기 위해서, 그것을 준비하지 않으면 위험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즐겁고 행복하기 위해서라는 것을. 많은 사람에게 돈의 목표를 적어보라고 하면 회피동기에 의한 재무목표들만 생각한다. 가족들과 해외여행, 혼자 즐기고 싶은 취미, 누리고 싶은 사치도 적어보자. 그 목표들이 우리의 재테크를 즐겁게 한다.

둘째, 쉽고 재미있는 목표도 포함해라.
10년, 20년 걸리는 목표와 쉽게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만 잔뜩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다. 또 목표를 다 이루면 세계 최고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 조금만 시간이 지나가면 결국 하나도 이루지 못하고 목표 달성을 포기할 것 같은 사람도 있다.

목표 달성도 자꾸 해 보고 익숙해져야 재미가 있다. 월 1만원, 3만원으로 하는 재테크를 포함하라. 좀 쉽고 재미있는 목표를 목록에 포함하고 그것을 달성했을 때 자신을 격려하고 축하하라. 그래야 목표를 달성하는 재미를 느끼고, 어려운 목표에도 도전하는 힘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달성한 목표는 시작과 달성 시기를 따로 적어두면 힘이 들거나 목표 달성이 재미가 없을 때 도움이 된다.

셋째, 목표가 계속 나를 자극하도록 하라. 
목록을 적어 놓고 어딘가에 그 종이를 두고 잃어버리면 목표를 적는 의미가 없다. 늘 목표를 보고, 기억하고, 자극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핸드폰 바탕 화면에 목표를 적은 목록을 깔아 놓거나 늘 볼 수 있는 곳에 잘 보이도록 붙여 놓은 것도 좋다.

무엇보다 노트에 꿈의 목록 숫자를 정해 놓고 그것을 매일 적어보면 목표가 강력하게 나를 자극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손으로 목표를 하나하나 적어나가면서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묻고 답하면서 목표를 향해 조금씩 나아갈 수 있다.

꿈이 있는 사람이 재테크도 잘한다

꿈이 이끌어가는 재테크는 훨씬 더 행복하므로 매일 꿈의 목록을 적고 그것을 하나씩 달성해 나가자. [중앙포토]

꿈이 이끌어가는 재테크는 훨씬 더 행복하므로 매일 꿈의 목록을 적고 그것을 하나씩 달성해 나가자. [중앙포토]

꿈이 있는 사람은 다르다. 돈을 벌 때, 돈을 쓸 때, 돈을 불릴 때 꿈이 없는 사람과 다르다. 꿈의 목록을 매일 적는 사람은 돈을 벌 때 한 번 더 움직이고, 돈을 쓸 때 한 번 더 고민하고 투자할 때 한 번 더 묻는다. 그리고 하나씩 이루어가면서 점점 더 행복할 수 있다.

꿈이 이끌어가는 재테크는 훨씬 더 행복하다. 매일 꿈의 목록을 적고 그것을 하나씩 달성해 나가고, 꿈의 크기를 키워나가는 모습은 행복한 재테크의 전형이다. 오늘 노트에 적은 돈의 꿈이 우리의 머니 스토리를 행복하게 만든다.

신성진 배나채 대표 truth64@hanmail.net

비트코인의 탄생과 정체를 파헤치는 세계 최초의 소설. 금~일 주말동안 매일 1회분 중앙일보 더,오래에서 연재합니다. 웹소설 비트코인 사이트 (http:www.joongang.co.kr/issueSeries/1020)

비트코인의 탄생과 정체를 파헤치는 세계 최초의 소설. 금~일 주말동안 매일 1회분 중앙일보 더,오래에서 연재합니다. 웹소설 비트코인 사이트 (http:www.joongang.co.kr/issueSeries/1020)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