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서면도심권 2030년까지 글로벌 중심업무지구로 대개조

중앙일보

입력

시민공원~북항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구상도.

시민공원~북항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구상도.

부산 서면 도심권인 부산진구, 동구, 남구일원 상업지역 4.6㎢에서 도심재생사업이 2020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글로벌 중심업무지구’로 대대적으로 개조하기 위한 ‘부산 시민공원~북항 연계 도심재생 사업’이다.

부산시, 2020~2030년 마스터 플랜 마련해 #사업비 1조2896억원 투입해 16개 사업 추진 #“글로벌 중심 업무지구로 도심 대개조” 목표

부산시는 지난해 3월부터 진행한 시민공원∼북항 연계 도심재생 마스터플랜 용역을 마무리했다고 20일 밝혔다. 도심 기능 쇠퇴에 따른 도심부 관리계획의 하나로 마련된 용역이다.

우암선 트램 도입

우암선 트램 도입

서울의 경우 2000년 이후 수차례 도심부 관리계획과 발전계획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도심부를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은 법정계획인 도시기본계획을 제외하고는 종합적인 도심 관리정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이번 용역은 부산발전연구원 김경수 선임연구위원이 책임연구원으로 수행했다. 연구원은 2030년을 목표연도로 ‘글로벌 CBD(중심업무지구) 도약을 위한 도심 대개조’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도심 골격 형성, 비즈니스 환경조성, 블루 그린 네트워크(야간경관·녹지 등) 구축 등 3개 유형에 16개 사업을 진행할 것을 제안했다.

부산 청소년 파크 조성

부산 청소년 파크 조성

시민공원과 문현금융단지 등 거점지역에 추진되는 각종 사업을 마무리하고 북항 재개발사업의 차질 없는 진행으로 도심권역을 종합적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주요사업을 보면 가용토지가 부족한 부산의 도심 여건을 고려해 철도와 군사시설 이전을 추진한다. 또 도심부 교통 수요를 관리해 도심 환경을 개선하고 상권 활성화 사업을 벌이는 것으로 돼 있다.

시민공원~북항 도심 보행길 조성.

시민공원~북항 도심 보행길 조성.

아울러 동구 자성대~남구 경성대 간 12.9㎞에 우암선 트램 도입, 부산진구 전포동에 부산 청소년 파크 조성, 동구 범일동 충장대로에 입체 보행길 조성, 부산진구 범천동에 광무 비즈니스 파크 조성, 부산 시민공원~북항 일원 도심 보행길 조성, 동구 범일동 미(美) 55보급창 공원화와 복합개발사업, 동천 일원 야간경관 조성 사업, 황령산~수정산 녹지 축 연결 등이 세부사업에 포함됐다.

미55보급창 공원화와 복합개발사업

미55보급창 공원화와 복합개발사업

2020년부터 5년 단위로 단계별로 이 사업을 추진하는데 드는 비용은 1조2896억 원으로 추산됐다. 이 마스터 플랜은 19일 실·국장, 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부산시 정책회의에서 확정됐다.

권영수 부산시 도시재생과장은 “앞으로 단위 사업별 추진 부서를 지정해 단계별로 사업을 진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