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분석]조셉 윤 왜 이 시점에 그만뒀나

중앙일보

입력

미국 국무부 6자회담대표인 조셉 윤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이번 주 후반 사퇴한다.

본인 은퇴 의사 강했고 NSC와도 대립 심화 #북미 대화 가동 앞두고 뉴욕라인 타격 우려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한국계이면서 국무부 내 대표적 대화론자였던 조셉 윤의 사퇴로 향후 북미 회담 추진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윤 대표는 26일(현지시간) CNN에 "이 시점에서 은퇴하기로 한 것은 전적으로 내 결정"이라며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아쉽다며 나의 사퇴를 승인했다"고 말했다.
윤 대표의 사퇴는 크게 두 갈래로 해석되고 있다.
첫째는 본인의 강한 의사다. 실제 윤 대표는 1년 여 전부터 여러 자리에서 "나이도 있는 만큼 그만 둘 때가 됐다" "내가 물러나는 건 사임(resign)이 아니라 은퇴(retire)"란 말을 하고 다녔다. 윤 대표는 1954년생으로 만 64세다. 85년 국무부에 들어가 33년째 외교관의 길을 걸어왔다.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지난 5일 서울 세종대로 외교부 청사에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지난 5일 서울 세종대로 외교부 청사에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09년 10월부터 2013년 7월까지 동아태담당 차관보 밑에 있는 4명의 부차관보 중 수석부차관보를 맡았던 그는 2013년부터 3년 2개월 동안 주 말레이시아 대사를 맡았다. 하지만 오바마 행정부 말기인 2016년에 본부로 돌아오면서 한 단계 아래인 부차관보를 맡게 됐다. 이어 자신보다 밑의 직급이던 수전 손턴이 수석부차관보를 거쳐 동아태 담당 차관보로 지명되자 "이제 할 만큼 했다"며 은퇴를 결심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국무부를 그만둔 뒤 조만간 워싱턴의 한 싱크탱크에 둥지를 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윤 대표의 사퇴를 두곤 대북 대응을 둘러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의 갈등을 주된 이유로 꼽는 분석이 있다.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회에서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왼쪽)가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가운데),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오른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회에서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왼쪽)가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가운데),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오른쪽)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북 강경 대응을 주도하는 허버트 맥매스터 NSC 국가안보보좌관 라인이 대북 대화론을 펴는 조셉 윤을 철저히 견제하고 배제한 데 따른 것이란 지적이다. 실제 NSC 내부에선 윤 대표를 가리켜 '드리머(dreamer·꿈을 꾸는 사람)'라 호칭하기도 했다. 특히 윤 대표의 "북한이 60일 이상 미사일 도발을 하지 않는다면 미국과 북한 간 대화 시작을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이른바 '60일 플랜'은 국무부와 NSC의 대립의 골을 깊게 했다. 일본 등도 조셉 윤에 대한 거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곤 했다.

그럼에도 윤 대표는 박성일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로 대표되는 '뉴욕 채널'을 가동하며 북미 간 대화를 꾸준히 모색해 왔다. 지난해 평양을 방문해 북한에 억류된 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석방을 이끌어낸 것도 이 뉴욕채널을 통해서였다.
투박한 말투에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는 몇 안 되는 한국계 외교관의 맏형 노릇을 해왔던 윤 대표가 물러남에 따라 당장 북미 채널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