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살리기 범시민이 뭉쳤다...인천시, 여야민정 T/F도

중앙일보

입력

한국GM 경영안전화를 위한 범시민 간담회가 26일 오후 인천시청에서 열렸다. 사진은 간담회 후 결의표명을 위한 기념촬영 모습. [사진 인천시]

한국GM 경영안전화를 위한 범시민 간담회가 26일 오후 인천시청에서 열렸다. 사진은 간담회 후 결의표명을 위한 기념촬영 모습. [사진 인천시]

국회와 인천시,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가 한국GM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뜻을 함께하기로 했다. 다만 과거 대우자동차 때와 같이 퍼주기식 무작정 지원이 아닌 철저한 실사를 통해 제대로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여야민정 테스크포스(T/F)’와 ‘외국인투자지역지정 및 현금지원’ 등의 얘기도 나왔다.

국회, 지방정부, 시민단체 구성된 범 시민간담회 #'정부 협상에 힘 실워줘야 할 때' 한 목소리 내 #외국인투자지역지정 및 지방세 감면 등도 계획

인천시는 26일 오후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한국GM 경영안정화를 위한 범시민 대표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인천지역 여야 국회의원과 경실련 등 시민사회단체, 유정복 인천시장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다만 이날 회의에는 한국GM 경영진과 노조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비공개로 진행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인천시 관계자는 “범시민적으로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의견을 나눴다”며 “경영 안정화를 해야 한다는 방향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방법론적, 세부 논의 과정에서 ‘옛날 대우 때처럼 무작정 끌려갈 것은 아니다’는 말도 나왔다”며 “한국GM의 투자 및 자구계획 등을 들은 뒤 사안별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도 했다.

한국GM 경영안전화를 위한 인천지역 범시민 간담회가 26일 오후 인천시청에서 열렸다. [사진 인천시]

한국GM 경영안전화를 위한 인천지역 범시민 간담회가 26일 오후 인천시청에서 열렸다. [사진 인천시]

필요하면 국회와 인천시, 시민사회단체가 포함된 ‘여야민정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세월호 참사로 해체됐던 해양경찰청의 부활과 인천 환원에 여론의 힘이 작용한 경험이 있는 만큼 이번에도 지역 여론을 형성해 정부에 힘을 실어주자는 것이다.

인천시도 지방정부 차원의 대책을 세웠다.
시 관계자는 “외국인투자지역지정에 기존업체인 한국GM을 포함할 수 있는지와 지방세 감면이 가능한지 등에 대해 산업자원부와 논의 중에 있다”며 “정부의 협상 결과에 따라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GM의 투자 및 자구계획이 나온 뒤에 협상 카드로 적절히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이번 간담회는 지역 여론을 형성해 정부의 협상력을 높여주자는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라며 “구체적인 대책 등이 나오지 않았지만 큰 틀에서 합의가 이뤄졌고, 여론형성이 된 만큼 성공적인 간담회라는 평가가 나왔다”고 말했다.

지난 24일 오후 전북 군산시 자동차융합기술원에서 군산시민들이 '군산공장 폐쇄 결사반대' 등의 손피켓을 들고 이낙연 국무총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낙연 총리는 이날 이곳에서 열린 한국지엠 군산공장 관련 간담회에 참석했다.뉴스1

지난 24일 오후 전북 군산시 자동차융합기술원에서 군산시민들이 '군산공장 폐쇄 결사반대' 등의 손피켓을 들고 이낙연 국무총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낙연 총리는 이날 이곳에서 열린 한국지엠 군산공장 관련 간담회에 참석했다.뉴스1

한편 경북도도 이날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협력업체 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지엠 군산공장과 거래하는 도내 협력업체 매출액 감소 등 실태를 파악, 피해 규모가 큰 업체에 고용유지를 위한 경영안전자금 등 맞춤형 지원을 하기로 했다. 또 정부가 군산을 ‘고용위기 지역’으로 지정하면 ‘지역이 아닌 관련 업종’으로 범위를 확대해 달라고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2~3차 협력업체를 위한 피해신고센터도 운영하기로 했다.

인천·안동=임명수·김윤호 기자 lim.myo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