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V 『명작의 무대-다시 찾은 시인 정지용』|한국의 서정시의 결정 영상화|이념에 단죄돼 버렸던 "우리의 시인" 되찾아|항공기 동원 시의 행로 추적, 시청자에 공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30년대의 천재시인이자 한국 현대시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정지용. 분단시대의 희생양으로서 「월북」이라는 걸림돌에 부딪쳐 쓰러져있던 그의 시가 지난주 TV를 통해 영상화 됐다.
M-TV가 지난 10일 방영한 『명작의 무대-다시 찾은 시인 정지용』.
지난 3월31일 정지용이 김기림과 함께 해금·복권되자마자 제작에 들어간 이 교양다큐멘터리는 크게 두 가지를 복원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
하나는 우리가 이념의 언어로 단죄하고 내버렸던 한 시인의 되찾음이다. 이는 TV라는 매체가 우리의 현실풍토에서 가장 보수적이며 지배제도의 영향권을 벗어나지 못해왔다는 점에서 월북시인 정지용이 우리의 시인 정지용으로 회복됐고 TV를 통해 이것이 공인됐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또 김소월·한용운·청록파·서정주의 작품들이 그 동안 수차례 전파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의 전범으로 확산돼왔다는 것을 상기할 때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알려져 온 가곡『고향』등 정지용의 시들이 전파매체를 통해 한국인의 생활에 자연스럽게 자리잡게 됐음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큐멘터리 『명작의 무대-다시 찾은 시인 정지용』이 갖는 또 다른 의미는 한국현대시사의 온당한 복원을 영상화했다는 것.
평론가 유종호씨는 정지용을 가리켜 『그 이후의 시인 또는 동년배의 시인조차 그의 영향을 받지 않은 자가 전무하다』고까지 말한 적이 있는데 이 말은 그가 한국인의 정서에 충실하면서 모더니즘기법을 적절하게 수용, 한국현대시의 방향을 제시한 한국문학사의 수로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 비추어볼 때 『명작의 무대』가 정지용의 작품들중에서 초기 모더니스트의 흔적이 농후한 『카페 프란스』등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고 『향수』『풍낭몽』『백록담』『호수』『고향』등 한국어의 가장 아름다운 결정들로 지칭되는 작품들을 위주로, 한민족의 정서를 노래한 시인으로서 정지용을 형상화한 것은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이 다큐멘터리는 정지용이 후대의 시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증명하는 하나의 예로서 박목월·박두진·조지훈등 이른바 「청록파」의 시집이 그의 시집『백록담』을 모방, 당초「청록담」으로 될 뻔했다는 것을 증언으로 제시한 시인 정지용의 문학사적 위치를 진정한 의미에서 눈으로 보여주었다. 이 다큐멘터리의 미덕은 유명한 『향수』등의 시어를 섬세하고 서정적인 화면으로 육화시켜 시와 영상의 만남을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냈다는 것.
특히 시 『백록담』을 영상화하면서 정상까지 이르는 시의 행로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시인이 시상을 떠올렸을 사물들을 포착하는가 하면 항공촬영을 동원, 백록담의 웅자함을 보여주기도 해 원작시의 감동을 시청자 누구에게나 느끼도록 해주었다. <박해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