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돈 제공자 공개가 핵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바꿔'에서 '벗겨'로.

시민단체가 내년 총선을 향해 잡은 화두다. 정치개혁의 요체를 정치자금의 투명화로 잡고 모든 것을 벗기겠다는 것이다. 2000년 총선 때는 낙천.낙선 운동을 주도하며 '바꿔' 신드롬을 불러왔던 시민단체들이다. 이번에는 투명화라는 명분으로 정치권을 압박할 태세다.

국내 시민단체는 크게 두개의 축으로 나뉘어 있었다. 경실련.한국YWCA.여성유권자연맹 등 65개 단체가 연대한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가 한 축이다. 참여연대.한국YMCA.함께하는 시민행동 등 46개 단체가 모인 정치개혁시민연대가 또다른 축이다.

이 두 단체는 지난달 29일 '2004년 총선 대응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열고 '연말까지 정치개혁안의 국회 통과에 시민단체의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하승창(河勝彰) 함께하는 시민행동 사무처장은 "선관위 안의 국회 통과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며 "특히 후원금 등 수입 부분의 투명화는 반드시 관철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계현(高桂鉉) 경실련 정책실장은 "지금의 정치자금법 하에서 정치인들은 끼워맞추기식 보고만 하고 있을 뿐이며, 선관위는 단지 얼마나 잘 짜맞췄는지를 사후에 감시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민영(金旻盈) 참여연대 시민감시국장은 "굿모닝 게이트 등을 통해 후원금이 각종 로비의 통로로 악용된 게 만천하에 드러난 마당에 더이상 내역 공개를 미룰 명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