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국력에 걸맞은 해외원조 확대 바람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아프리카 3개국을 순방 중인 노무현 대통령이 오늘 나이지리아에서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한국 이니셔티브'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2008년까지 현재의 세 배로 늘리고, 향후 3년 내 아프리카인 1000명을 초청, 개발 경험을 전수하는 한편 봉사단과 의료단 파견 인력을 대폭 확대하는 것 등이 골자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력에 걸맞은 선진 외교를 표방해 온 정부로서는 비록 늦었지만 방향을 제대로 잡았다고 본다.

세계 11위의 경제 규모에 비해 우리의 대외 원조 실적은 낯을 들기 창피할 정도다. 2004년 기준 한국의 ODA 규모는 4억3000만 달러로, 국민총소득(GNI)의 0.06%에 불과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다.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외국과의 교역에서 창출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인색한 코리아'란 소리를 들을 만하다. 이런 초라한 성적표를 갖고 책임 있는 중견국가로 대접받기를 기대할 순 없다.

우리의 ODA는 규모도 문제지만, 전체의 95%가 아시아에 편중돼 있는 점도 문제다.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는 아프리카의 빈곤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국제사회의 절박한 현안이다. 그런 점에서 아프리카에 초점을 맞춰 지원을 확대키로 한 것은 잘한 결정이다.

중장기적으로 GNI 대비 ODA 비중을 유엔이 제시한 목표치인 0.7%에는 못 미치더라도 OECD 평균 수준(0.25%)으로 끌어올리고,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정회원 가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국제적 추세에 맞춰 ODA 중 대가 없는 무상원조의 비중을 높이는 방안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