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민주 당내서 예상보다 큰 반발-소선구제 선거법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의원선거법처리를 위한 제140회 임시국회가2일 오후 개회됐으나 야권의 통합움직임이 지연되고 여야 의원들 사이에 소선거구제에 대한 반발이 크게 일고있어 소선거구제선거법처리를 둘러싸고 여야간 및 각 당내에서 큰 진통이 예상된다. <관계기사 3면>
여야는 당초 국회개회와 함께 선거법협상을 다시 재개하기로 합의했으나 각 당 입장이 정리되지 않아 협상재개시기조차 불투명하다.
민정당은 2일 서울·부산·전남 등 시·도지부 별로 의원간담회를 열어 소선거구제에 대한 소속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그러나 의원들은 야당의 통합 움직임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소선거구제를 추진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고 1구1∼3인제를 채택한 당론 변경불가를 결의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크게 주목된다.
이들 의원들은 소선거구제를 채택할 경우 정치과열현상이 벌어져 동서대립, 여촌야도 현상이 재현되고 과열선거 운동으로 선거기간 극심한 혼란이 예상되며 총선 후 심각한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어 제6공화국이 목표하는 화합의 정치구도에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의총에서 당론불가발언에 나서는 한편 소선거구제 채택을 위해 중집위를 소집할 경우 다시 모여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민정당 일부의원들의 반발이 이같이 강해 당론을 수정할 경우 당론변경을 위한 당내 설득과정에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민정당은 야당이 통합되고 선거법 내용이 달라지는데 대비해 지금까지 민주·평민· 공화당을 각각 상대하던 협상방식도 바꾸는 한편 협상대표도 바꾸기로 했다.
그러나 민정당측은 야권의 통합움직임을 당분간 관망하되 무한정 기다릴 수는 없다는 방침을 세우고 이번 주말께 중집위 등을 소집해 선거법에 대한 당 방침을 최종 결정할 방침인데 야당이 소선거구제 단일안 쪽으로 의견을 집약하면 민정당의 소선거구제 안을 강행 처리할 방침이다.
그러나 만약 야당의 통합이 난관에 봉착하고 통합이 지연될 경우에는 당론 결정과정에서 소선거구제를 반대하는 의원들의 의견도 존중될 수 있어 1구1∼3인 제안이 되살아날 가능성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도 없다.
민정당은 이날 오전 당직자회의에서 대책을 논의, 이번 회기내 반드시 선거법을 처리하되 당론정리과정을 거치기로 하고 이날오후 채문식 대표주재 시·도지부장간담회를 열고 3일 오전 가락동 연수원에서 의총을 열기로 했다.
민주당도 2일 오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소선거구당론환원문제를 집중토의 했으나 일부 의원들의 강한 반발에 부닥쳐 지난달 29일의 두 김씨간 3개항 합의사항을 수용키로 한 정무회의 결의의 추인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현규 원내총무, 황낙주·조병봉 의원 등은 『조건 없는 통합을 해야하며 통합된 후 선거구제나 지도체제문제 등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평민당측이 두 김씨에 의한 공동대표제를 당론으로 확정한 것은 통합의 의사가 없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하고 두 김씨의 퇴진을 강력히 촉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