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폭행 업체, 中 일방 지정···공안 퇴직자가 설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행사를 취재하던 한국의 한 사진기자가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일방적으로 폭행 당했다. [중앙포토]

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행사를 취재하던 한국의 한 사진기자가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일방적으로 폭행 당했다. [중앙포토]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 중 한국 사진기자들을 집단폭행해 물의를 빚은 중국 측 사설 보안업체는 중국 공안 퇴직자들이 만든 회사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이찬열 국민의당 의원이 18일 밝혔다.

이 의원은 중국 측이 특수 관계에 있는 업체를 일방적으로 지정해 코트라와 계약하게 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코트라 자료에 따르면 코트라와 계약을 맺은 보안업체는 '북경은순보안복무유한공사'로 이 의원이 자체 확인한 결과 이 업체는 중국 공안 퇴직자들이 세운 회사다.

이 의원에 따르면 코트라는 공안을 의식해 행사장을 운영하는 중국 국영기업 '국가회의중심'이 지정해 준 이 업체와 계약을 맺었다. 이 업체의 보안·경호 요원에 대한 지휘·통제는 공안 내 ‘VIP 경호’를 담당하는 경위 센터가 총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코트라는 당초 이 업체와 보안요원 50명, 안전검사 요원 30명 등 80명을 계약한 뒤 추가 계약을 통해 총 190명의 인원을 계약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중국 측이 인건비 산출 근거도 제공하지 않아 코트라는 업체가 부르는 대로 인건비를 지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불미스러운 상황은 예견되어 있었던 것으로 잘못된 경호 계약 관행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