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와 선긋고 시간 벌기…문 정부, 한일관계 관리 나서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위안부 이슈가 중요하지만 한일관계의 전부는 아니다" (외교 소식통)

정부가 위안부 TF 결과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를 일단 잠정 보류하기로 한 것은 이 같은 현실적인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위안부TF 후속조치 잠정 보류 #한중일정상회담ㆍ평창 올림픽 등 고려 #정부ㆍ청와대 강경파 목소리가 변수 #"한미FTA처럼 위안부 합의도 재협상해야"

19일 방일하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과거사 문제보다 실질적인 양국 협력방안에 방점을 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로서는 결론이 어느 쪽으로 나든 '뜨거운 감자'가 될 것이 뻔한 위안부 이슈를 잠시 덮어둠으로써 시간을 번 셈이다.

오태규 위안부합의 검토 TF 위원장이 31일 외교부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20170731

오태규 위안부합의 검토 TF 위원장이 31일 외교부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20170731

◇TF, 이면합의 밝힐까=약 5개월에 걸친 위안부TF의 검증 작업은 이미 마무리 된 것으로 알려졌다. TF는 우선 이 합의가 외교부 공식 채널이 아닌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과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의 8차례 걸친 밀실회담을 통해 주로 진행돼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

또 위안부 합의에서 다뤄진 ^일본 정부가 거출한 10억엔의 의미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배경 ^위안부 소녀상이 거론된 이유 등에 대해서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 측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일본은 10억엔을 냈으니, 한국은 소녀상 철거에 성의를 다해야 한다”(2017년 1월 8일)고 하는 등 ‘10억엔=소녀상 철거’라는 인식을 보여왔다. TF가 이와 관련한 이면합의가 있었는지 등을 밝힐 지도 주목된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2015년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위안부 소녀상 이전 조건으로 한·일 위안부 협상이 합의됐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논란인 가운데 대전 보라매공원 앞 소녀상에 모자와 망토, 목도리, 무릎담요가 씌어져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15년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위안부 소녀상 이전 조건으로 한·일 위안부 협상이 합의됐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논란인 가운데 대전 보라매공원 앞 소녀상에 모자와 망토, 목도리, 무릎담요가 씌어져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TF와 선긋기…“정부 한 것 아니다”=이달 말 나올 TF 검증 결과에 대해 우리 정부는 명확히 선을 긋고 나섰다. “검증은 민간에서 한 것이지 정부가 한 것이 아니다”(외교부 당국자)라는 입장이다. 장관 직속으로 일부 외교부 인사가 참여하고 있음에도 TF 성격을 '민간'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는 TF가 부정적 결과를 내놓더라도 정부의 후속조치가 반드시 파기 또는 재협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설명으로 이어진다. 또 시기적으로도 후속조치는 TF 결과가 나온 뒤 최소 한 두달 뒤에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입장을 일본 정부 측에도 이미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정부가 TF와 선을 그은 것은 문재인 정부가 한일관계를 지난 박근혜 정부 4년처럼 보낼 순 없다는 현실적 판단이 깔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후보 당시 ‘위안부 합의 재협상’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취임 후에는 ‘파기’나 ‘재협상’이라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 2018년은 ‘김대중-오부치 한·일파트너십’ 20주년으로, 중요한 시기를 앞두고 정부가 한일관계 관리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 바라보는 아베 일본 총리   (마닐라=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국제컨벤션센터(PICC)에서 열린 제12차 동아시아정상회담(EAS)에 참석해 회담에 앞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기다리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2017.11.14   kjhpre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문 대통령 바라보는 아베 일본 총리 (마닐라=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국제컨벤션센터(PICC)에서 열린 제12차 동아시아정상회담(EAS)에 참석해 회담에 앞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기다리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2017.11.14 kjhpre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당장 오는 2월 열리는 평창올림픽도 변수로 떠올랐다. 정부는 평창올림픽에 아베 총리가 반드시 참석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그 전에 위안부 이슈가 부상할 경우 한일관계가 경색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국내 여론이 악화되면 아베 총리의 방한도 어렵다는 게 외교가의 분위기다. 실제 아베 정부 측은 “재협상 요구시엔 아베 총리는 평창에 갈 수 없다”고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내 강경파 목소리 여전=하지만 여전히 정부 내에는 파기, 재협상을 주장하는 강경한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특히 청와대와 외교부 일각에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도 재협상하는데 위안부 합의는 왜 재협상하면 안되느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이 대선 공약을 뒤집고 위안부 합의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은 선택이다. 정부가 일단 시간은 벌어둔 셈이지만 위안부 이슈는 언제든지 한일관계의 갈등요소로 번질 수 있는 상황이다.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