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끼 중 2끼만 중국 지도부와 식사 … 문 대통령 ‘혼밥’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오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이야기하고 있다. 왼쪽은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 오른쪽은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 이날 국빈 만찬은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청와대는 하루 지난 15일 수행원이 찍은 만찬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오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이야기하고 있다. 왼쪽은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 오른쪽은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 이날 국빈 만찬은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청와대는 하루 지난 15일 수행원이 찍은 만찬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청와대]

대통령의 ‘혼밥(혼자 먹는 밥)’, 실용 외교의 방법인가, 아니면 홀대 때문인가.

중국선 식사가 가장 큰 손님 접대 #바른정당 “국빈이 찬밥 신세 당해” #청와대 “서민 식당 방문은 실용주의” #시진핑 만찬 불참설에 사진 공개도 #일각 “아마추어가 방중 일정 짠 듯”

중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의 식사 일정이 한·중 외교 현안 못지않은 관심사로 떠올랐다. 고단한 삶을 사는 젊은 세대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혼밥이 대통령의 외교 일정과 겹쳐지자 온라인에서도 큰 화제다.

논란은 문 대통령이 실제 혼밥을 하면서 시작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오전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베이징의 ‘용허셴장’에서 유탸오(油條·꽈배기 모양의 빵) 등을 주문해 식사했다. 중국 인민이 즐겨 먹는 식당을 깜짝 방문해 식사하는 모습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가려 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었다. 이 자리엔 중국 고위 관료는 없었다.

관련기사

다음 날인 15일 베이징대 연설이 끝난 뒤 오찬을 할 때도 중국 측 인사와 함께하지 않았다. 당초 우리 측은 중국 경제의 사령탑이자 서열 2위인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오찬을 이날 추진했지만 오찬은 성사되지 않았다.

3박4일의 방중 기간 동안 식사할 수 있는 횟수는 모두 열 차례다. 그중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국빈 만찬(14일), 천민얼(陳敏爾) 충칭시 당서기와의 오찬(16일) 등 두 끼만 중국 지도부와 함께 식사하는 일정이고 나머지는 중국 측 고위 인사와 함께하는 일정이 아니었다.

손님 접대를 할 때 식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중국을 문 대통령이 국빈 자격으로 방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란 말이 나오고 있다. 야권에선 이를 두고 “중국 한복판에서 국빈인 대통령이 찬밥 신세를 당하고 있다”(유의동 바른정당 수석대변인)고 비판하고 있다.

청와대는 홀대론에 선을 그으며 ‘실용주의적 외교’를 강조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14일) 일반 식당에서의 식사는 잘 준비된 기획 일정”이라며 “그걸 혼밥이라고 하는 건 무리다. 홀대론에 동의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빈 만찬을 했으면 된 것인데, (다른 끼니도 함께) 꼭 밥을 먹어야 하느냐. (혼밥 논란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고는 “형식은 다소 검소해도 내용이 알차면 된다”며 “문 대통령의 실용적인 성격이 외교 일정에도 잘 반영되고 있다고 생각해 달라”고 했다.

또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날 중국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식사 일정을 안 잡고 공부하려고 비워놓은 건데 ‘혼밥 먹는다’는 말이 왜 나오느냐”고 반문했다. 청와대는 이날 ‘혼밥’ 논란과 함께 ‘전날 시 주석이 혹시 문 대통령과의 만찬에 참석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얘기가 돌자 만찬 메뉴와 사진을 뒤늦게 공개하기도 했다. 만찬에는 조개 비둘기알국, 불도장, 소금 은대구 구이 등이 나왔다.

청와대 안팎에선 문 대통령의 전날 식사 체험을 지난해 5월 베트남을 방문했던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쌀국숫집을 찾았을 때와 비교하며 “오바마 전 대통령은 파격적인 소통 행보로 보면서 왜 문 대통령은 혼밥이라고 하느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두 사례를 단편적으로 비교하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시 오바마 전 대통령은 단순 식사가 아니라 유명 요리사와 함께 TV 프로그램 촬영을 겸한 일정이었기 때문이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중국학 교수는 “중국 측 인사가 없는 식사가 한 번이었으면 모르겠지만 국빈 방문을 한 정상이 대부분의 식사를 홀로 한다는 건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한 전문가는 “방중 일정에 대해 중국 측과 사전 조율을 제대로 하지 않은 듯한 모습”이라며 “외교 문제에 아마추어인 사람이 일정을 짜는 걸 주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