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러슨 "조건 없는 북미 대화"에 백악관·국무부 "지금은 아니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AP=연합뉴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AP=연합뉴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가 1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지금은 북한과 대화할 시점이 아니다"고 말했다.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지금은 때가 아니다"고 분명히 했다. 전날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비핵화'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한 것과는 다소 배치된다.

노어트 대변인은 "틸러슨 장관이 새 (대북) 정책을 만들지 않았다. 외교가 최우선이라는 우리의 정책엔 변함이 없다"면서 "북한의 행동이 변한다면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은 (대화에) 적절한 시기가 아니다"라면서 "국무부의 정책은 백악관과 같은 선상에 있다"면서 틸러슨과 백악관간 엇박자를 봉합하려 했다.

전날 틸러슨 장관은 “우리는 북한이 대화하길 원하면 언제든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첫 만남을 가질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처음 나온 ‘비핵화’ 조건 없는 대화 제안이었다.

틸러슨 장관은 이날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이 공동 주최한 ‘환태평양 시대 한·미 파트너십 재구상’ 토론회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준비가 돼야 대화할 수 있다고 하는 건 현실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틸러슨 장관의 외교적 해법의 개막”이라 평하고, CNN도 “북한을 향한 직접적이고 공개적인 초대장”이라고 평가했다. 중국과 러시아도 이같은 틸러슨의 발언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새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바뀌지 않았다”는 성명을 내 즉각 반박했다. 하지만 틸러슨의 발언이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을 거쳐 나왔는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북한의 제8차 군수공업대회가 12일 폐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3일 보도했다. 사진은 12일 평양 4·25문화회관에서 열린 군수공업대회에서 연설하는 김정은. [연합뉴스]

북한의 제8차 군수공업대회가 12일 폐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3일 보도했다. 사진은 12일 평양 4·25문화회관에서 열린 군수공업대회에서 연설하는 김정은. [연합뉴스]

익명을 요구한 NSC 관계자는 13일 "북한의 근본적인 행동 개선 없이는 어떠한 대화도 없을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에 말했다. 그는 "우리가 반복적으로 말해왔듯, 우리는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북한과 대화 가능성은 열어놓고 있다"면서 "하지만 북한은 반드시 더 이상의 도발을 자제해야 하며 비핵화를 향한 진지하고 의미있는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가 틸러슨의 발언을 반박했을지언정 북미 대화 채널 개통 가능성이 높아진 건 확실해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몇몇 전문가들은 2월 개최되는 평창동계올림픽 즈음에 대화가 재개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올림픽이라는 이벤트가 화해 제스처를 취하기 적절한 명분이 되는데다 통상 겨울엔 북한의 미사일 시험이 잠잠해지 때문이다.

관련기사

이경희 기자 dung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